- 영문명
- A study on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daptation of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영곡사회심리발달학회
- 저자명
- 백승아(Seung-A Paek)
- 간행물 정보
- 『사회심리발달연구』제5권 2호, 183~20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집단 특성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 학업 적응을 분석함으로써 대학생의 학업적응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Y대학에서 관련변인을 측정하는 온라인 검사에 자발적으 로 응답한 대학생 359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독립표본 t-검증,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블 록화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의 경우,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2학년의 평균이 높았고, 자신감과 본질동기, 학업적응은 4학년의 평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CTL 학습 프로그램 참여 여부의 경우,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자기조절효능감, 학 습동기 및 본질동기, 비본질동기, 참여 집단의 평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유 의한 차이가 나타난 변인이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블록화된 회귀분석 결과, CTL 학습 프로그램 참여 여부, 학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학 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는 학업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반영하여 CTL 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대학생의 학업 적응에 관한 논의 및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academic adaptation of university students by analyzing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dapt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359 university students at Y University in Gyeonggi Province who voluntarily responded to an online survey measuring relevant variables. Independent samples t-tests, one-way ANOVA, and blocke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grade, the average academic self-efficacy was higher in the second grade, and the average self-confidence, intrinsic motivation, and academic adaptation were higher in the fourth grade. Second, in terms of participation in the CTL learning program, the self-regulation efficacy, learning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non-essential motivation, and the average of the participation group were confirmed to be high. Third, as a result of the blocked regression analysis that confirmed the effect of variables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on academic adaptation, the participation in the CTL learning program and grade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but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motivation were confirme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academic adaptation.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we suggest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TL learning programs and academic adaptation of university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청소년학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 아시아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아동교육
- 문화와 융합
- 교육학연구
- 교육연구논총
- 교양교육연구
- 열린교육연구
- 아동교육
- 교육심리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한국웰니스학회지
- 학교사회복지
- 학교사회복지
- 문화와 융합
- 창의력교육연구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 상담학연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상담학연구
- 아시아교육연구
- 학생생활연구
- 아동교육
- 학생지도연구
- 교육심리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 Psychological Review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Psychological Bulletin
- Encyclopedia of psychology
- Handbook of theories of social psychology
- Handbook of moral development
- Innovations in Education and Teaching International
-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 Educational Psychologist
- American Psychologist
-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