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Future Time Perspective on Career Decision in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Career Adaptability
- 발행기관
- 영곡사회심리발달학회
- 저자명
- 린웨싱(Yue-Xing Lin) 신정애(Jeong-Ae Shin)
- 간행물 정보
- 『사회심리발달연구』제5권 2호, 164~182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고등학생의 미래시간관과 진로탐색행동, 진로적응력, 진로결 정 등이 상호 간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진로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중국 산둥성, 지린성, 안후이성, 장시성에 소재한 고등학교 학생 353명을 대상으로 미래시간관과 진로탐색행동, 진로적응력과 진로결정을 측정하여, SPSS 25.0과 PROCESS MACRO 4.6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미래시간관, 진로탐색행동, 진로적응력은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에 유의미한 영 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진로직응력은 미래시간 관과 진로결정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래시간관과 진로결정 간의 관계에서 진로탐색행동은 진로적응력을 통해 순차적 매개역할을 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결론 미래에 대한 긍정적이고 명확한 관점은 진로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진로탐색행동은 진로적응력을 매개로 진로결정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높은 진로적응력은 명확하고 자신감 있는 진로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 한 요소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생들에게 직업 체험, 심리검사, 스트레스 관리과 문제해결 능력을 갖추기 위해 스스로 진로를 탐색하고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다양 한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future time perspective, career exploration behavior,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of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to derive implications for career education.
Methods For this purpose, 353 high school students from Shandong, Jilin, Anhui, and Jiangxi provinces in China were surveyed to measure their future time perspective, career exploration behavior,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PROCESS MACRO 4.6 programs.
Results First, future time perspective,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career adaptability were found to significantly affect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co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career adaptability served as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areer decision-making. Thir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played a sequential mediating role through career adapt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areer decision-making.
Conclusions A positive and clear perspective on the future was identified as a key factor influencing career decision-making. Career exploration behavior indirectly influenced career decision-making through the mediation of career adaptability. Moreover, high career adaptability was confirmed as an important element that enables clear and confident career deci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diverse programs to help high school students explore and adapt to their careers, equipping them with experiences like job shadowing, psychological assessments, stress management, and problem-solving skill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교육 심리연구
-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대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心理科学
- 中国心理卫生杂志
- 心理科学
-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 Columbia University Press
- NY: The Guilford Press
-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 John Wiley & Sons, Inc.
-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