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Group Play Experiences Aimed at Enhancing Sociality on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 발행기관
- 영곡사회심리발달학회
- 저자명
- 김정희(Jeong-Hee Kim) 김은미(Eun-Mi Kim)
- 간행물 정보
- 『사회심리발달연구』제5권 2호, 66~83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사회성 증진을 위한 집단놀이 경험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연구 대상은 경기도 Y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4세 21명 으로 선정하여 8주간 연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는 기술통계, 대응표본 t 검 증을 실시하였고, 유아관찰, 교사면담, 연구일지는 질적 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사회성 증진을 위한 집단놀이 경험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정서조절’, ‘정서성’, ‘사회 적 규범 이해’에서 긍정적인 유의한 변화가 확인되었으나 ‘또래 관계 기술’에서는 유의 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의 사회성 증진을 위한 실천 방안과 활용 가능성을 논의하였으며, 집단놀이 경험의 의의와 제한점 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structured group play experiences on the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over eight weeks with 21 four-year-old children enrolled in a daycare center located in Y City, Gyeonggi Province. Pre- and post-survey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ired-sample t-tests. Additionally, qualitative data, including child observations, teacher interviews, and research journals, were analyzed.
Resul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structured group play experiences positively influence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observed in the subdomains of ‘emotional regulation’, ‘empathy’, and ‘understanding of social norms’. However, no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in ‘peer relationship skills’.
Conclusions These results highlight the practical applications and potential benefits of structured group play for enhancing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significance of group play experiences and their limitations are also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유아교육연구
- 생태유아교육연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 생태유아교육연구
- 아동학회지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아동학회지
-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 유아교육학논집
- 육아정책연구
- 유아교육연구
- 열린유아교육연구
- 열린부모교육연구
- 유아교육학연구
- 놀이치료연구
-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유아교육연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유아교육학논집
- 유아교육연구
- 유아교육학논집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 열린유아교육연구
- Play and Culture
- Play and Culture
- Play from Birth to Twelve: Contexts, Perspectives, and Meanings
- Jossey-Bass
- In M. S. Clark (Ed.), Emotion and Social Behavior
- Doctoral dissertation
- IL: Scott, Foreman
-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 Child Study Journal
- Doctoral Dissertation
- Social Development
- current topic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Eds). by Katz, I. G.
- In T. Kottman & C. Schafer (Eds.), Play therapy in action: A casebook for practitioners
- Psychological Bulletin
- The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 New York: Free Press
-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 Paper presented at the viral meeting of the south western society of research in human developmen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