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최남선의 만주기행과 고조선·부여·고구려·발해 인식 - 『송막연운록』과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이용수 79

영문명
Choi Namseon’s Account of Manchurian Trip and Recognition on Old Joseon/Buyeo/Goguryoe/Balhae : Focused on 『Songmankyeonyunrok』 and Successive Change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조원진(Wonchin Cho)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30號, 205~237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송막연운록』에 나타난 최남선의 만주에서의 한국고대 국가 인식과 만주기행 이후 최남선의인식 변화에 주목한 글이다. 최남선의 만주 기행문인 『송막연운록』에는 만주에서 활동한 고조선, 부여, 고구려, 발해에 대한 내용이 곳곳에서 언급된다. 이를 통해 최남선은 만주에서 한민족의 활동과 위치를 조명한다. 고조선과부여에 대한 내용은 상대적으로 분량이 소략한 편이지만 요동이 고조선의 영역이었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만주기행 이후 최남선은 요동지역과 송화강유역을 고조선의 초기 활동지역으로 보는 등 일정부분 변화도 나타난다. 부여의 경우 최남선은 송화강유역에서 부여의 흔적을 찾으며 不咸⽂化의 근본점이 이곳이라고 언급하기도 한다. 이후 최남선은 부여신화의 의미와 단군신화와의 연관성을 밝히는데 관심을 갖게 된다. 이를 통해 최남선은 『만몽문화』에서 부여족을 중심으로 한국고대사를 파악하게된다. 최남선은 『송막연운록』에서 특히 고구려에 큰 관심을 갖고 요동지역의 고구려의 활동을 다루었다. 만주기행 이후에는 고구려 유적과 관련된 3편의 글을 집필하기도 하였다. 발해의 경우 최남선은 발해의 상경성을 답사하며 석등 등을 관찰한 내용을 자세하게 기록하였다. 이후에는 발해 유민의 고려 합류를 강조하는 인식을 보이기도 하였다. 당시 만주의 유적답사기를 발표하거나 유적을 소개한 학자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최남선이 남긴글은 적지 않은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was focused on Choi Namseon’s recognition of the ancient Korea in Manchurian and his recognition change after writing the account of Manchurian trip, shown in 『Songmankyeonyunrok』. Old Joseon, Buyeo, Goguryeo and Balhae, which acted in Manchurian, are remarked at every parts of 『Songmankyeonyunrok』, the account of Manchurian trip written by Choi Namseon, suggesting that he highlights the activity and position of Korean people in Manchurian. Although the amount of contents about Old Joseon and Buyeo is relatively small, the fact that Liaodong was once an area of Old Joseon was stressed. He might partially change his view after writing the account of Manchurian trip, in that he regarded the Liaoding area and the Songhwa river basin as the early activity area of Old Joseon. He discovered some traces of Buyeo around the Songhwa river basin, and remarked the area as the origin of Bulham culture(不咸⽂化). Afterwards, Choi Namseon became interested in revealing the meaning of the Buyeo myth and its connection to the Tangun myth. Therefore, he understood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around the Buyeo tribe in 『Manmongmunhwa』. In particular, he examined the activity of Goguryeo around the Liaodong area in 『Songmankyeonyunrok』, as he was very interested in Gogyryeo. He also wrote three works about the remains of Goguryeo after the account of Manchurian trip was published. He recorded the detailed contents of stone lanterns and so on he observed, surveying the Sanggyeong castle of Balhae. Then, he recognized and emphasized that displaced persons from Balhae joined Goryeo. The writings left by him has a significant implication, in that there have been little scholars who presented any accounts of Manchurian relic trip or introduced remains at that time.

목차

Ⅰ. 서론
Ⅱ. 최남선의 만주기행 배경과 만주 인식
Ⅲ. 최남선의 고조선과 부여 인식
Ⅳ. 최남선의 고구려와 발해 인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대종교사년회
  • 역사비평사
  • 아연출판부
  • 아세아문화사
  • 서경문화사
  • 사회평론아카데미
  • 사회평론아카데미
  • 형설출판사
  • 丹齋申采浩先⽣紀念事 業會
  • 우리역사연구재단
  • 乙亥文化社
  • 경인문화사
  • 제이엔씨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우리역사연구재단
  • 나남
  • 三中堂
  • 역락
  • 경인문화사
  • 경인문화사
  • 경인문화사
  • 경인문화사
  • 경인문화사
  • 中華書局
  • 洪氏出版社
  • 주류성
  • 너머북스
  • 한국학술정보
  • 소명출판
  • 박문사
  • 祖國社
  • 주류성
  • 주류성
  • 고구려발해연구
  • 역사교육연구
  • 발해유적의 국가별 발굴 성과와 재해석
  • 동아일보
  • 동북아역사논총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白巖 朴殷植 全集
  • 북방사논총
  • 한신인문학연구
  • 한민족문화연구
  • 한국근대문학연구
  • 한일관계사연구
  • 史叢
  • 고구려발해연구
  • 만주연구
  • 사이間SAI
  • 상호학보
  • 한국근현대사연구
  • 진단학보
  • 동방학지
  • 인문과학
  • 대동문화연구
  • 만주연구
  • 일본 소재 고구려 유물
  • 일본 소재 고구려 유물
  • 고구려발해연구
  • 백산학보
  • 한중인문학연구
  • 史學志
  • 군사
  • 한국고대사탐 구
  • 동양학
  • 六堂 崔南善 全集
  • 六堂 崔南善 全集
  • 六堂 崔南善 全集
  • 六堂 崔南善 全集
  • 六堂 崔南善 全集
  • 六堂 崔南善 全集
  • 六堂 崔南善 全集
  • 六堂 崔南善 全集
  • 六堂 崔南善 全集
  • 六堂 崔南善 全集
  • 六堂 崔南善 全集
  • 六堂 崔南善 全集
  • 六堂 崔南善 全集
  • 六堂 崔南善 全集
  • 怪奇
  • 단군론
  • 불함문화론‧살만교차기
  • 민속문화론
  • 만주연구
  • 아세아연구
  • 한 민족문화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원진(Wonchin Cho). (2024).최남선의 만주기행과 고조선·부여·고구려·발해 인식 - 『송막연운록』과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백산학보, (), 205-237

MLA

조원진(Wonchin Cho). "최남선의 만주기행과 고조선·부여·고구려·발해 인식 - 『송막연운록』과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백산학보, (2024): 205-237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