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in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 저자명
- 김혜정(Heyjung Kim) 조경숙(Kyeongsuk Jo) 정은영(Eunyoung Jeong) 이선재(Sunjae Lee)
- 간행물 정보
- 『기전문화연구』제45권 제2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서울과 경기 지역에 전승되는 국악의 갈래별 특성을 기반으로 초등학교 감상 교육 방안을 제안한 것이다. 국악의 갈래를 기록과 구전, 직업과 비 직업을 기준으로 궁중의식음악, 풍류음악, 공연예술음악, 생활음악으로 구분하고 갈래의 특성을 반영한 교육 적 가치와 음악 내·외적 요소로 내용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갈래별 대표 악곡을 선정하여 감상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하였다. 기록 음악이면서 직업음악인들이 수행한 궁중 의식음악, 구전음악이자 직업음악인들이 수행한 공연예술음악, 기록 음악이면서 비 직업음 악인들이 수행한 풍류음악, 구전 음악이면서 비 직업음악인들이 수행한 음악인 생활음악을 대상으로 해당 갈래의 특성이 교육 방법과 내용에 충분히 반영되도록 하여 학생들이 음악 을 균형감각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pare an educational plan linking genre characteristics for traditional music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n this article,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classified into ceremonial music of the court, performing art music of musicians, music of scholars, and living music of the general public. In addition, learning plans were prepared so tha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enre were sufficiently reflected in the teaching method and content so that students could understand music in a balanced way. Music of court rituals and music performed by Yangban are recorded as sheet music and have formal stability and fixation as ensemble music. On the other hand, art music and music such as folk songs are characterized by fluidity, improvisation, and creativity as an oral tradition.
목차
1. 서 론
2. 서울·경기 지역 국악의 갈래별 특성과 교육적 가치
3. 초등 국악 감상교육 현황과 개선점
4. 갈래별 국악 감상 교수법과 적용 방안
5.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무형유산
- 한국국악학회
- 국악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