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s of openness to change and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teaching efficacy and their digital play support capability
- 발행기관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 저자명
- 김진성(JinSung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국제사회』제8권 제6호, 333~35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디지털 교수효능감과 디지털 놀이지원역량의 관계에서 변화개방성과 전문성 지원환경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시와 S시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중인 유아교사 16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병렬다중매개모형을 분석하기 위해 Hayes(2018)의 PROCESS Macro Model 4가 적용되었다. 분석 결과, 유아교사의 디지털 교수효능감, 변화개방성, 전문성 지원환경, 디지털 놀이지원역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유아교사의 전문성 지원환경이 디지털 교수효능감과 디지털 놀이지원역량 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사의 디지털 놀이지원역량 향상을 위하여 디지털 교수효능감과 전문성 지원환경을 중요 변인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사의 디지털 놀이지원역량 증진을 위한 실질적이고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openness to change and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teaching efficacy and their digital play support capability. The study analyzed data from 165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in D City and S City. To examine the parallel multiple mediation model, Hayes' (2018) PROCESS Macro Model 4 was applied. The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teaching efficacy, openness to change,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and digital play support capability. Furthermore, the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teaching efficacy and the digital play support capability. The findings suggest that digital teaching efficacy and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variables for enhancing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play support capabili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어린 이미디어연구
- 교육과학연구
- 미래유아교육학회지
- 아동복지연구
- 육아정책연구
- 대한가정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 아동부모 학회지
- 열린유아교육연구
- 한국육아지원학회 학술대회지
- 영유아교육·보육 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인지발달 중재학회지
- 아동교육
- 열린교육연구
- 아동교육
-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한국유아교육연구
-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교원교육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한국보육학회지
- 열린유아교육연구
- 유아교육보육복지 연구
-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안영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유아교육연구
-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대회논문집
- 유아교육학논집
- 육아지원연구
- 육아지원연구
-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Computers & Education
- Harvard Business Review
- Encyclopedia on early childhood development
-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 Learning, Culture, and Social Interaction
- Journal of Applied Communication Research
-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Systems
-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