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Influencer Advertising Products Lead to Purchases :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Influences
- 발행기관
- 글로벌융합연구학회
- 저자명
- 김희선(Heeseon Kim)
- 간행물 정보
- 『글로벌융합연구학회지』제3권 제2호, 40~53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SNS 이용이 보편적으로 확산되면서 SNS 활용 가치가 확대되고 SNS 광고의 규모도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본 연구는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실질적 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기업들이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구축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인플루언서에 대한 선행연구에 따라 3가지 특성인 전문성, 매력성, 신뢰성으로 분류한다. 구매로 이끄는 핵심요인을 제품기대감, 브랜드 이미지로 분류한다. 인플루언서의 특징과 구매로 이끄는 요인을 명확히 제시하고 이에 상응하는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설문지를 이용하여 표본을 수집하고 실증분석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인플루언서의 특징이 인플루언서 광고 상품을 구매로 이끄는 핵심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에서 전문성과 매력성은 제품기대감과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주었다. H1-1, H1-2, H3-1, H3-2는 채택되었다. 둘째, 인플루언서의 특징이 인플루언서 광고 상품을 구매로 이끄는 핵심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에서 신뢰성은 제품기대감과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가설 H2-1, H2-2은 기각되었다. 셋째, 인플루언서의 광고 상품을 구매로 이끄는 핵심 요인은 지속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것이라는 가설에서 제품기대감과 브랜드 이미지는 지속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가설 4, 5는 채택되었다.
영문 초록
As SNS use becomes widespread, the value of SNS utilization is expanding and the scale of SNS advertising is also increasing explosively. In line with this trend,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companies establishing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by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actual effects of influencer marketing.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influencers, it is classified into three characteristics: expertise, attractiveness, and reliability. The key factors leading to purchase are classified into product expectation and brand image. The characteristics of influencers and the factors leading to purchase are clearly presented and a corresponding research model is presented. A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samples and empirically analyze the hypothesis to verify i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n the hypothesi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influencers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key factors leading to the purchase of influencer-advertised products, expertise and attractiveness had an effect on product expectation and brand image. H1-1, H1-2, H3-1, and H3-2 were accepted. Second, in the hypothesi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luencer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key factors leading to the purchase of influencer-advertised products, reliability did not affect product expectation and brand image. Hypotheses H2-1 and H2-2 were rejected. Third, in the hypothesis that the key factors leading to the purchase of influencer-advertised product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product expectation and brand image were judge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Hypotheses 4 and 5 were accept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설계
4. 실증분석 및 결과
5.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