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 발행기관
- 글로벌융합연구학회
- 저자명
- 이아진(A Jin Lee) 유영미(Youngmi Ryu)
- 간행물 정보
- 『글로벌융합연구학회지』제3권 제2호, 11~2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 소재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431명이다. 온라인 질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Process Macro Model 1을 사용하여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문화의 하위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조직문화 중 관계문화, 개발문화, 합리문화는 이직의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위계문화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계문화, 개발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관계문화, 개발문화, 위계문화에서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의 영향은 어린이집의 조직문화 특성 중 관계문화, 개발문화를 높게 인식하는 교사 또는 위계문화를 낮게 인식하는 교사에게서 상대적으로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나, 어린이집의 관계문화, 개발문화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시켜 주는 역할을, 반대로 위계문화는 가중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effect of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on turnover inten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31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child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were us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using SPSS Process Macro Model 1.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turnover intention, job str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and among organizational cultures, relationship culture, development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and hierarchical culture had a positive effect.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relationship culture, development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on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relationship culture, development culture, and hierarchical culture had a moderating effect. In conclusion, the effect of job stress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was relatively smaller for teachers who perceived the relational culture and developmental culture as highly amo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characteristics of daycare centers, or for teachers who perceived the hierarchical culture as low. This suggests that the relational culture and developmental culture of daycare centers can play a role in alleviating the effect of job stress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while the hierarchical culture can play a role in aggravating it.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설계
4. 실증분석 및 결과
5.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