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AI Travel Planner Tourism Information Quality on Continuance Intention: Focusing on Generation Z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융합관광콘텐츠학회
- 저자명
- 이세나(Sena Lee) 이정원(Jung-Won Lee)
- 간행물 정보
- 『융합관광콘텐츠연구』제10권 제3호, 137~15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Z세대를 중심으로 수정된 후기수용모델(PAM)을 적용하여 AI 여행플래너 관광정보품질, 지각된 유용성, 만족도, 지속사용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여행앱에서 AI 여행플래너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Z세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2024년 11월부터 약 2주간 진행되었고,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152부의 표본을 확보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I 여행플래너 관광정보품질 요인은 완전성과 적절성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AI 여행플래너 관광정보품질 요인인 완전성과 적절성이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AI 여행플래너의 지각된 유용성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만족도가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용자의 참여, 만족도 및 유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AI 여행플래너를 통해 고품질의 신뢰할 수 있고 맞춤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고 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는 AI 여행플래너 관광정보품질이 지각된 유용성, 만족도,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AI 여행플래너 사용자의 여행계획 도출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I travel planner tourism information quality, perceived usefulness,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by applying the modified Post Acceptance Model(PAM) centered on Generation Z.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Generation Z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 using AI travel planners in travel apps. The survey period was approximately two weeks from November 2024, and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as used to secure a sample of 152 people and conduct an analysis.
Results: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I travel planner tourism information quality factors were derived as completeness and appropriateness. Second, the AI travel planner tourism information quality factors completeness and appropriateness were found to affect perceived usefulness. Third, the perceived usefulness of the AI travel planner was found to affect satisfaction. Fourth, satisfaction was found to affect continuance intention. These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providing high-quality, reliable, personalized information through AI travel planners to improve user engagement, satisfaction, and retention.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t systematically verified the travel plan derivation process of AI travel planner users by confirming the influence of AI travel planner tourism information quality on perceived usefulness,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설계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시사점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지역과 문화
- 관광학연구
- 관광레저연구
- 도시연구
- 호텔관광연구
- 관광학연구
- 관광연구논총
- 관광연구
- 로고스경영연구
- 관광연구저널
- 관광연구저널
- 관광진흥연구
- 호텔관광연구
- 한국광고홍보학보
- 관광진흥연구
- 호텔경영학 연구
- 호텔경영학연구
- 정보시스템연구
- 호텔 경영학연구
- 삼성SDS 인사이트 리포트
-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 MIS Quarterly
- Decision Support Systems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mporary Hospitality Management
- Tourism Review
- Journal of Travel Research
- Tourism Review
- Current Issues in Touris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ertising
- MIS Quarterly
- Journal of Hospitality & Tourism Research
- Information & Management
- Journal of Hospitality Marketing & Management
- Journal of Ecotourism
- Information & Management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mporary Hospitality Management
- Information & Management
- Current Issues in Tourism
- Information & Management
-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 Current Issues in Tourism
-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 Management Science
-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Management
- Journal of Travel & Tourism Marketi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