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인 가구 노인의 사회적 배제가 주관적 기대감에 미치는 영향 : 삶의 질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이용수 318

영문명
Effect of Social Exclusion of the Elderly in Single-Person Households on Subjective Expectation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Quality of Life
발행기관
K교육연구학회
저자명
주예원(Ye-Won Ju)
간행물 정보
『사회과학리뷰』제9권 제4호, 407~423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인 가구 노인의 사회적 배제가 주관적 기대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삶의 질의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고용정보원(2022)의 「제9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1인 가구 노인 1,00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를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인 가구 노인의 사회적 배제(고용, 건강, 소득, 사회활동참여)와 주관적 기대감의 하위요인인 생활수준기대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건강 배제가 생활수준기대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1인 가구 노인의 사회적 배제(고용, 건강, 소득, 사회활동참여)와 주관적 기대감의 하위요인인 사회보장기대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회활동참여 배제가 사회보장기대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1인 가구 노인의 사회적 배제(고용, 건강, 소득, 사회활동참여)와 주관적 기대감의 하위요인인 사회상황기대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사회활동참여 배제가 사회상황기대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1인 가구 노인의사회적 배제와 주관적 기대감의 관계에서 삶의 질은 완전매개효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quality of life in the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exclusion of the elderly in single-person households on subjective expectations. As for the analysis data, 1,006 elderly people from single-personhouseholds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using 「The 9th Aging Research Panel Survey」of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2022).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social exclusion(employment, health, income,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nd living standardexpectations, which are sub-factors of subjective expectations, it was found that healthexclusion had a negative effect on living standard expectations. Second, as a result ofanalyzing the effects of social exclusion (employment, health, income, participation in socialactivities) and social security expectations, which are sub-factors of subjective expectations, itwas found that exclusion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security expectation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social exclusion(employment, health, income,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nd social situationexpectations, which are sub-factors of subjective expectations, it was found that exclusion of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had a negative effect on social situation expectations. Four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lusion and subjective expectations of the elderly insingle-person households, the quality of life was found to be a complete mediating effec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동향과 전망
  • 한국사회복지학회
  • 서울한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동방문화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한국노년학
  • 사회복지연구
  •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한국융합인문학
  • 신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예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Psicologia: Reflexão e Crítica
  • Social science & medicine
  • Institute for Public Policy Research
  • Working with older people
  • Journal of Happiness Studi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예원(Ye-Won Ju). (2024).1인 가구 노인의 사회적 배제가 주관적 기대감에 미치는 영향 : 삶의 질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사회과학리뷰, 9 (4), 407-423

MLA

주예원(Ye-Won Ju). "1인 가구 노인의 사회적 배제가 주관적 기대감에 미치는 영향 : 삶의 질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사회과학리뷰, 9.4(2024): 407-423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