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형사고 예측을 위한 잠복성 진단기법에 관한 연구

이용수 5

영문명
A Study on the Latent Risk Diagnostic Method for Anticipating Large-scale Accidents
발행기관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저자명
이건우(Keonwoo Lee) 김재한(Jaehan Kim) 김유나(Yuna Kim) 김성수(Sungsoo Kim)
간행물 정보
『한국위기관리논집』Vol.20 No.6, 1~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나라는 신기술 개발, 사회구조변화, 자연환경 등의 안전환경이 변화됨에 따라 소규모로 발생하던사고들이 범국가적 대응이 필요한 대형사고로 확대되고 있다. 안전환경변화는 대형사고 발생에 많은영향을 미치고 있어 이에 대한 잠복된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예방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전환경변화 흐름에 따른 대형사고의 잠복성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 잠복성진단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론 및 법·제도 체계를 기반으로 다층적 잠복성 위험요인4가지를 도출하였고 이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진단 모형을 제안하였다. 제시된 진단기법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과거에 발생했던 대형사고 사례에 적용하였다. 진단 결과, 대형사고 사례들이 발생하기 전 본 연구에서 제안한 잠복된 위험요인들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제안된 잠복성 진단기법은 대형사고가 범국가적 대응이 필요한 재난까지 확대되지 않도록 사전에 잠복된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사고를 예측하는 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As Korea's safety environment changes due to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social structural changes, and the natural environment, accidents are expanding into large-scale accidents that require a national response. Safety environment chang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occurrence of large-scale accident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latent risk factors. In this study, we propose a latent risk diagnosis method as a basic research for anticipating large-scale accidents. For this purpose, we derived four multi-layered latent risk factors based on theories and legal and institutional frameworks. Then we defined the concept of latent risk factors and proposed a diagnostic model.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diagnostic method, it was applied to large-scale accidents that occurred in the past. As a results, it confirmed the existence of the latent risk factors of the accidents. Diagnostic method is expected to be utilized to anticipate large-scale accidents by identifying latent risk factors in advance.

목차

Ⅰ. 서론
Ⅱ. 대형사고 잠복성 진단의 연구 배경
Ⅲ. 대형사고 잠복성 진단 모형
Ⅳ.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Professional Safety
  • Korea Administrative Law and Practice Association
  • GA: Institute Press, Atlanta
  • Intl Loss Control Inst. New Yor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Korean Policy Sciences Review
  • Ph.D. Dissertation
  • Crisisonomy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Routledge
  • New York: McGraw-Hill
  • Atmosphere
  • Crisisonomy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 Joru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 The Police Science Journal
  •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Law Associatio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Urban Railway
  • Journal of Korea Society Disaster and Security
  • Crisisonomy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Maritime Police Scienc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Journal of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 Crisisonomy
  • Korean Journal of Safety Culture
  • Korean Journal of Scientific Criminal Investigati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 Journal of Korea Sport Research
  • MIT Press
  • Crisisonomy
  • Journal of Korean Police Studies Association
  • Crisisonomy
  • YS Publish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Police & Law
  • Economy and Society
  •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B, Biological Sciences
  • Journal of Legislation Studies
  • Aviation Space and Environmental Medicine
  • The Korean Governance Review
  • National Public Law Review
  • Law Review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건우(Keonwoo Lee),김재한(Jaehan Kim),김유나(Yuna Kim),김성수(Sungsoo Kim). (2024).대형사고 예측을 위한 잠복성 진단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20 (6), 1-22

MLA

이건우(Keonwoo Lee),김재한(Jaehan Kim),김유나(Yuna Kim),김성수(Sungsoo Kim). "대형사고 예측을 위한 잠복성 진단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20.6(2024): 1-22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