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민간신용과 소득분배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가계부채와 소득 불평등 관계를 중심으로

이용수 26

영문명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te Credit and Income Distribution: Focusing on Household Debt and Income Inequality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미래성장연구원
저자명
유경원(Kyeongwon Yoo)
간행물 정보
『미래성장연구』제10권 2호, 49~7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주요 선진국에서 민간신용과 가계부채의 증가와 소득 불평등의 심화가 맞물리며, 민간신용 및 가계부채 증가와 소득 불평등 간의 관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한국의 경우, 경제 규모에 비해 가계부채 비율이 매우 높은 편이어서 이들 간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할 필요성이 크다. 기존 연구들은 주로 민간신용의 급격한 증가가 금융위기를 촉발할 가능성을 제시하지만, 민간신용 확대와 소득 불평등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근거는 일관성이 부족하다. Rajan(2010) 이후 연구들은 대체로 소득 불평등이 민간신용을 확대하고, 이로 인해 은행 위기로 이어진다는 흐름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일부 연구들은 민간신용이 오히려 불평등을 악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두 경로에 대한 종합적 실증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OECD 국가 패널 자료와 한국의 분기 시계열 자료를 활용하여 소득 불평등, 가계부채, 금융위기 간 상호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특히 가계부채와 소득 불평등 간의 직접적 관계에 집중하였다. 또한 기존의 국가 패널자료 분석을 넘어 한국의 시계열 자료 분석을 수행하여, 한국 경제 상황에 부합하는 결과와 시사점을 제한적이나마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In many advanced economies, the increase in private credit and household debt has been paralleled by a deepening of income inequality, spurring inter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In Korea, household debt levels relative to the economy are among the highest globally, necessitating a systematic analysis of the links between private credit, household debt, and income inequality. While prior research often suggests that rapid credit growth heightens the risk of financial crises, empirical evidence on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private credit expansion and income inequality remains inconsistent. Since Rajan (2010), much of the literature has focused on how income inequality can drive credit expansion, potentially leading to financial instability; however, some studies suggest that credit growth itself may exacerbate inequality. Despite these insights,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se dual pathways has been lacking. This study addresses this gap by conducting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income inequality, household debt, and financial crises, using OECD panel data and quarterly time-series data from Korea. Notably, we focus on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debt and income inequality. Going beyond previous studies on cross-country panels, we analyze Korea’s unique economic environment, offering relevant findings and insights that align with Korea’s specific economic context.

목차

Ⅰ. 서론
Ⅱ. 논의 배경 및 문헌 검토
Ⅲ. 분석자료 및 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Journal of International Money and Finance
  • Remarks in Markus’ Academy, Princeton Univ
  • IMF Staff Discussion Note
  • European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 Sociological Science
  • IMF Staff Discussion Note
  • Working Papers
  • International Economic Review
  • City
  • Economic Modelling
  • Cambridge Journal of Economics
  • Princeton University Press
  • Socio-Economic Review
  • The British Journal of Politic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경원(Kyeongwon Yoo). (2024).민간신용과 소득분배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가계부채와 소득 불평등 관계를 중심으로. 미래성장연구, 10 (2), 49-72

MLA

유경원(Kyeongwon Yoo). "민간신용과 소득분배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가계부채와 소득 불평등 관계를 중심으로." 미래성장연구, 10.2(2024): 49-72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