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death awareness and preparation from a well-aging perspective : Elderly Survey,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복지실천학회
- 저자명
- 목미란(Mi Ran Mok) 김영자(Young Ja Kim) 박지해(Ji Hae Park) 성재숙(Jae Suk Sung) 김금환(Keum Hwa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복지실천학회지』제15권 제1호, 111~13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노인의 죽음 인식과 준비 정도에 따라 저인식·저준비, 저인식·고준비, 고인식·저준비, 고인식·고준비의 4개 유형 집단화하는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진행하여 유형별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2020년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연령이 많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주거만족이 높을수록, 가구월소비액이 많을수록, 친구지인왕래가 많을수록, 경로당등 이용이 많을수록, 전반적 삶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차별경험이 있을수록, 갈등경험이 있을수록, 사회적존중이 높을수록, 질환수가 많을수록, 흡연을 안할수록, 낙상경험이 있을수록, 종교가 없을수록, 농어촌지역에 거주할수록 A유형(저인식·저준비)에 비해 D유형(고인식·고준비)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중장년층, 청소년층 등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도 필요하다.
셋째, 향후 연구에서는 완전요인모형이나 사용자정의단계에 상호작용효과를 포함한 보다 세밀한 분석연구의 진행도 필요하다.
영문 초록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group elderly people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their awareness of death and their level of preparation: low awareness * low preparation, low awareness * high preparation, high awareness * low preparation, and high awareness * high preparation. The study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each type, and used the 2020 Elderly Actual Situation Survey data.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older the person, the higher the educational level, the higher the housing satisfaction, the higher the monthly household expenses, the more friends and acquaintances they have, the more they use sugar, the higher the overall life satisfaction, the more they have experienced discrimination, the more they have experienced conflict, the higher or higher the social respect, the more they do not smoke, the more they have experienced falls, the more they have no religion, and the more they live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the more likely they are to belong to Type D (high awareness and high preparation) compared to Type A (low awareness and low preparation).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replication studies are needed. Replication studies are needed that use awareness of death and preparation as dependent variables, while also including other factors that may have an impact (e.g., attitudes toward death, decision-making, etc.), and that distinguish between residents of urban and rural areas.
Second, research targeting various age groups, such as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and young people, is also necessary.
Third, future research should include more detailed analytical research that includes full factorial models and interaction effects in the user-defined stage.
Fourth, when using the Elderly Survey, efforts should be made to carry out weighted composite sample analysis, to discover and apply a wider variety of explanatory variables, and to make use of recent data.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based on this should then b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결정요인 분석 도구 :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한국복지실천학회지
-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국복지실천학회지
-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부동산법학
- 한국노년학
-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 상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중언어학
-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국인구학
- 한국복지실천학회지
- 신학연구
-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