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of Daycare Center Director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of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복지실천학회
- 저자명
- 박은주(Eun Joo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복지실천학회지』제15권 제1호, 33~5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가 지각하는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인과관계에서 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에 두고 있으며,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와 부천시 소재 100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4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SPSS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첫째, 원장의 코칭리더십의 하위요인인 방향제시, 자기개발, 수행평가, 소통 및 관계는 조직유효성 및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1, 2, 3 모두 채택되었다. 둘째,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조직유효성의 인과관계에서 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하위요인인 의미성, 역량, 자기결정, 영향력 모두가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4는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리더십은 교사의 조직유효성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으며, 어린이집 원장은 구성원의 조직유효성을 높이기 위해 코칭리더십을 발휘해야만 한다.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및 부천시에 있는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로서, 후속 연구에서는 표집 집단을 확대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다른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변인들을 채택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aching leadership of the director of the children's home as perceived by teacher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410 teachers working at 100 children's homes in Incheon and Bucheon, and the results of the SPSS analysis were presented.
First, the subfactors of the chairman's coaching leadership, direction, self-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were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psychological impact, and both hypotheses 1, 2, and 3 were adopted. Second,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or's coaching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subfactors of teachers' psychological empowerment, meaningfulness, competence, self-determination, and influence, were all shown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and hypothesis 4 was adopted.
As a suggestion of this study, the coaching leadership of the director of the children's home plays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eacher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eachers' psychological empowerment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or's coaching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director of the children's home must exercise coaching leadership to increase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its member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eachers working at children's home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Bucheon City, and subsequent studies should expand the target population.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adopt various variants that can be accessed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conduct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 코칭연구
- 벤처창업연구
- 동아대
-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숙명 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유아교육연구
- 서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서울사회복지 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한국복지실천학회지
- 한국교육학회
- 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국보육학회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