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ing in intercultural competence enhancement practic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정아(Jung Ah Choi) 안혜정(Hye Jung Ah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4호, 981~100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상호문화역량 증진 활동을 실천한 유아교사들의 경험과 의미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연구참여자는 부산지역 A대학 유아교육학과의 전공심화과정에 재학 중이며, ‘다문화 교육’ 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유아교사 8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8주간 실천한 상호문화역량 증진 활동을 기록한 보고서, 상호문화역량 증진 활동 전후에 작성한 설문지이며 이후 내용 분석이 수행되었다.
결과 유아교사들의 상호문화역량 증진 실천 경험은 ‘유아 개별성 존중을 통한 관계 형성 및 성장 촉진하기’, ‘유아 중심 갈등 해결 및 공감 기반 갈등 중재하기’, ‘유아 및 부모의 다양성과 요구를 고려한 의사소통하기’, ‘교사로서 자기 성찰과 타인 이해하기’로 나타났다. 유아교사들의 상호문화역량 증진 실천의 의미는 ‘상호문화역량에 대한 의미 변화’, ‘다문화 가정 유아에 대한 이해와 교육적 접근의 증진’, ‘지속적인 실천을 통한 상호문화역량 강화’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사의 상호문화역량이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유아와 부모를 지원하는데 필수적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유아교육 정책 수립 시 상호문화역량을 고려해야 하며, 유아교사를 위한 관련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practiced activities to enhance intercultural competence.
Method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eight early childhood teachers enrolled in the advanced program of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University in Busan, who were taking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 The collected data consisted of reports documenting the intercultural competence enhancement activities conducted over eight weeks, along with questionnaires completed before and after the activities, followed by content analysis.
Results The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enhancing intercultural competence were categorized into: ‘Fostering relationships and promoting growth by respect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children,’ ‘Resolving conflicts centered on children and mediating based on empathy,’ ‘Communicating by considering the diversity and needs of children and parents,’ and ‘Self-reflection and understanding others as a teacher’ The meanings of the teachers’ practices for enhancing intercultural competence were identified as: ‘Changes in the understanding of intercultural competence,’ ‘Improved understanding and educational approaches towar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Strengthening intercultural competence through continuous practice’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intercultural competence is essential for supporting children and parents from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Therefore, it suggests that intercultural competence should be considered in the formul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ies, and the development of related educational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is requir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