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Victimization in Adolescence and Social Anxiety in Adulthood: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and Self-criticis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서경(Seo-Gyeong Lee) 이영호(Young-Ho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4호, 967~97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 또래 괴롭힘 피해경험과 성인기 사회불안의 관계를 확인하고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비난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만 18세 이상 성인 296명을 대상으로 사회경험질문지(SEQ),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SS), 우울경험질문지(DEQ), 사회공포증 척도(SPS),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SIAS)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는 첫째, 또래 괴롭힘 피해경험과 내면화된 수치심, 자기비난, 사회불안 사이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또래 괴롭힘 피해경험이 사회불안으로 가는 경로를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비난이 이중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에 대해 논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and self-critic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victimization in adolescence and social anxiety in adulthood.
Methods To this end, a self-report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the Social Experience Questionnaire(SEQ), the Internalized Shame Scale(ISS), the Depressive Experiences Questionnaire(DEQ), the Social Phobia Scale(SPS), and the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SIAS) were completed online. Through the online servey, we have collected data from 296 adults aged 18 or older. SPSS 25.0 is used to test the model.
Results The result of analysis are the following.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peer victimization, internalized shame, self-criticism, and social anxiety. Seco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internalized shame and self-criticism had du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victimization and social anxiety.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