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AI Convergence Picture Book Creation Class Program to Improve Creativity and AI Value Recogni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하수경(Sukyeong Ha) 김승현(Seumg-Hyun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4호, 811~83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생 대상 창의성 및 AI 가치인식 향상을 위한 인공지능 융합 그림책 창작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ADDIE 모형을 바탕으로 총 8차시의 AI 융합 그림책 창작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경상남도 소재 초등학교 6학년 41명(실험집단 20명, 통제집단 21명)을 대상으로 통합창의성검사 및 AI 가치인식 설문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분석을 위해 정량적, 정성적 분석을 실시하고 수업 프로그램의 후속 조치에 대해 논의하였다.
결과 첫째, 인공지능 융합 그림책 창작 수업 프로그램은 기존의 그림책 창작 수업 프로그램과 비교하여 창의적 능력 전체 및 창의적 능력의 일부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두 집단 간의 AI 가치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정성적 분석을 수행하여 인공지능 융합 그림책 창작 수업 프로그램이 아이디어 구상 및 표현 과정에서 학습자의 부담을 줄이고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창작교육의 효과를 검증한 사례를 제공하고 인공지능을 활용한 창작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n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picture book creation class program to improve creativity and AI value recogni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Methods To this end, based on the ADDIE model, a total of 8 AI convergence picture book creation classes were developed, and an integrated creativity test and AI value recognition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for 41 sixth graders (20 experimental groups and 21 control groups) in elementary schools in Gyeongsangnam-do to verify their effectivenes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sults, and follow-up measures of the class program were discussed.
Results Firs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picture book creation class program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in the overall creative ability and some factors of creative ability compared to the existing picture book creation class program. Second, by comparing the two group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I value perception. Third,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picture book creation class program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burden on learners in the process of conceiving and expressing ideas and increasing the completeness of the work.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examples of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creative educ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uggests ways to activate creative educ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Ⅴ. 연구 결과 및 해석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