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lationships between Childcare Teachers’ Respect for Rights and Thriving at work and Intent to Remain Employed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경미(Kyung Mi Kim) 안선희(Sun Hee Ah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4호, 323~33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보육교사들의 권리 존중, 직무번영감, 재직 의도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고 권리 존중과 직무번영감이 재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서울·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국공립, 민간,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 20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보육교사의 권리 존중, 직무번영감과 재직 의도의 일반적 경향을 분석하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권리 존중과 직무번영감이 재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한 Pearson 적률상관관계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보육교사들의 권리 존중, 직무번영감, 재직 의도의 평균 점수를 분석한 결과, 재직 의도는 보통 수준보다 약간 높았고 직무번영감과 권리 존중은 다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재직 의도는 권리 존중 및 직무번영감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들의 권리 존중과 직무번영감은 재직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설명력은 55%이었다. 직무번영감과 권리 존중 중에서 직무번영감이 재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나, 재직 의도에는 직무번영감이 더 중요한 변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보육교사로서 권리를 존중받고 있다고 느끼고 직무번영감이 높은 교사가 어린이집에 계속 근무하고자 하는 의사를 보였다. 따라서 교사들의 경력과 직급에 따라 직무번영감을 활성화하는 다양한 교육이 필요하고 교사의 권리를 존중하는 분위기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care teachers' respect for rights, thriving at work, and intent to remain employed.
Methods A random sample of 201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including Seoul and Gyeonggi-do, was selected and analyzed. To interpret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care teachers' respect for rights, thriving at work, and intention to stay at work,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see the effects on respect for rights, thriving at work, and job intent to remain employed.
Results First,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generally found to have a relatively positive perception, with the level of intent to remain in office being average, and the level of respect for rights and thriving at work being higher than average. Secon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respect for rights, thriving at work, and intention to keep working at the daycare center. Third, respect for rights and a sense of thriving at work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intention to work at the daycare center. It was thriving at work had more influence on intent to remain employed than respect for rights.
Conclusions Teachers who felt that their rights as teachers were respected and who had a high sense of thriving at work wanted to continue working at the child daycare center. Accordingly, education and training at various levels to thriving at work will be needed depending on teachers' experience and posi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