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Study of Traditional Art Classes for Childre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영은(Young Eun Kim) 김사랑(Sa Rang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4호, 191~20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미술수업 사례를 통해 전통미술교육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A교사와 B교사가 유아의 발달적 특성과 재료, 기법, 소재를 고려하여 전통미술수업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서울 소재 C유치원과 D유치원의 방과후교육과정 특별활동 미술수업에서 만 5세 유아에게 수업을 실행한 후에 유아의 반응, 결과물, 교사의 느낌 등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전통미술수업에서는 다양한 주제나 재료, 소재 등을 활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수업 사례를 통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의 주제는 유아가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소재로 한다. 둘째,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전통미술수업은 전통재료의 우연적 기법으로 접근할 수 있다. 셋째, 수업을 할 때에는 전통미술작품 감상시간을 충분히 갖고 느낌을 나눈다. 전통미술의 재료와 기법을 간접적, 직접적으로 경험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결론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수업사례를 통해 전통미술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는 향후 교육현장에서 전통적 주제나 소재 등을 활용한 미술수업이 적극적이고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direction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was presented through examples of art classes for young children.
Methods To this end, teachers A and B designed a traditional art class program in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materials, techniques, and materials of infants. After conducting classes on 5-year-old infants in a special activity art class for the after-school curriculum of kindergartens C and D in Seoul, the analysis was based on the responses of infants, results, and feelings of teachers.
Results In traditional art classes for young children, various topics, materials, and materials can be used to express them. The analysis results through class cases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 of the class is materials that young children can easily access in daily life. Second, traditional art classes for young children can be approached with the accidental technique of traditional materials. Third, during class, take enough time to enjoy traditional artworks and share feelings. It helps you experience and understand the materials and techniques of traditional art indirectly and directly.
Conclusions Through the case of art classes for young children, we trie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art classes using traditional topics and materials will be actively conducted in the future in the educational fiel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