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Children's Play Therapy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안지수(Ji-su An) 백서진(Seo-jin Bae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4호, 73~8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 놀이치료 관련 연구동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RISS에서 ‘유아’, ‘놀이치료’ 키워드 관련 총 486편의 학술과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키워드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키워드는 Excel을 통해 정제하였으며, 정제된 키워드는 Netminer 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체 키워드 중 상위 30개 키워드에 대한 출현빈도, 동시출현빈도, 네트워크 속성 및 중심성(연결, 근접, 매개)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시각화하여 나타냈다.
결과 첫째, 유아 놀이치료 관련 연구의 키워드 출현빈도는 ‘미술치료’가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집단미술치료’, ‘정서지능’ 순으로 나타났다. 동시출현빈도는 ‘정서지능-집단미술치료’가 가장 높은 빈도로 출현하였으며 다음으로 ‘사회성-문제행동’, ‘사회성-집단미술치료’, ‘정서지능-집단미술치료’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놀이치료 관련 연구의 중심성 분석은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에서 ‘미술치료’, ‘집단미술치료’, ‘문제행동’이 동일하게 높은 빈도의 중심성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연결중심성은 ‘미술치료’, ‘집단미술치료’ 순으로, 근접중심성은 ‘미술치료’, ‘집단미술치료’ 순으로, 매개중심성은 ‘미술치료’, ‘문제행동’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놀이치료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여 유아 놀이치료 연구의 주제와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미가 있으며, 향후 유아 놀이치료 연구가 나아가야 할 연구의 길잡이가 되어 관련 연구의 활성화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search trends related to infant play therapy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486 academic theses related to the keywords of ‘young child’ and ‘play therapy’ were collected from RISS. The collected keywords were refined through excel, and the refined keywords were analyzed using the Netminer 4.0 program to analyze the keyword frequency, co-occurrence frequency, network attributes and centrality (connection, proximity, and mediation) of the top 30 keywords among all keywords, and visualized the analysis results.
Results First, as for the frequency of keywords appearing in the research related to children's play therapy, ‘Art Therapy’ was the highest frequency, followed by ‘Group Art Therapy’ and ‘Emotional Intelligence’. As for the frequency of co-occurrence, ‘emotional intelligence-group art therapy’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followed by ‘sociality-problem behavior’, ‘sociality-group art therapy’, and ‘emotional intelligence-art therapy’. Second, the analysis of the centrality of the research related to children's play therapy showed that ‘Art Therapy’, ‘Group Art Therapy’, and ‘Problem Behavior’ were equally high in connection centrality, proximity centrality, and mediation centrality.Next, the connection centrality was shown in the order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steem’, the proximity centrality was shown in the order of ‘self-esteem’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mediating centrality was shown in the order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music therapy’.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providing implications for the theme and direction of infant play therapy research by grasping the trends of play therapy research for infants, and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 on infant play therapy will become a guide for future research and revitalize related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