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ulti-group comparison of academic adaptation pathways according to college admission criteria: Focussing on D univers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형수(Hyoung Soo Kim) 이주영(Juyoung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4호, 1~1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입학전형에 따른 재학생의 대학적응 경로 다집단 간 차이 여부를 밝히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방법 분석을 위해서 수도권 소재 D대학 CS센터의 협조를 얻어 2022학년도 재학생 17,969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료의 정규성과 변인 간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Mplu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학과만족도, 학생지원인프라, 학과몰입, GPA 간 관계를 설정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고, 입학전형에 따른 집단 간 경로차이를 검증하는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학과만족도와 학생지원인프라가 학과 몰입을 거쳐 GPA에 영향을 주는 구조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집단분석 결과에서는 학생부종합전형, 학생부교과우수전형, 정시, 편입의 네 집단을 비교한 경우, 학생부종합전형과 정시의 두 집단을 비교한 경우, 학생부종합전형과 학생부교과우수전형을 비교한 경우에는 경로 계수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전형유형에 따라 학과몰입에 영향을 주는 만족도 및 지원인프라의 상대적 영향이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결과는 대학에서 학생지원 정책의 방향을 정하는데 기초정보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academic adaptation trajectories among multiple groups based on admission criteria.
Methods For analysis, we obtained cooperation from the CS Center on campus and collected data from 17,969 students enrolled in the 2022 academic year.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data normality and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In addition, the Mplu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at established the relationship among department satisfaction, student support infrastructure, academic commitment, and GPA, and a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pathway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admission criteria.
Results The structural model, which posits that department satisfaction and student support infrastructure influence GPA through departmental immersion, was found to be appropriate. In the multi-group analysis results comparing four groups—comprehensive student record admission, outstanding academic record admission, regular admission, and transfer admission—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th coefficients were observed when comparing the comprehensive student record admission group with both the regular admission group and the outstanding academic record admission group.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relative impact of satisfaction and support infrastructure on departmental immersion depending on the type of admission. This finding suggests that such information could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shaping student support polic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