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교사들의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수업 자료 개발 역량에 대한 연구

이용수 100

영문명
A study on the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to develop mathematics-centered STEAM instructional materials
발행기관
한국학교수학회
저자명
한혜숙(Hyesook Han) 옥보명(Bo-myoung Ok) 최희선(Heesun Choi)
간행물 정보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제27권 제4호, 559~58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들이 개발한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수업 자료와 수업 자료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겪었던 어려움을 분석하여 예비교사들의 STEAM 수업 자료 개발 역량 함양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2년도 1학기에 「창의융합교육의 이해」 강좌를운영하였고 예비교사들이 개발한 5종의 STEAM 수업 자료와 2개의 팀을 대상으로 실시한 면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STEAM 교육 목표, STEAM 활동과정, STEAM 평가, STEAM 교육 적용 영역에서 분석한 결과, 과학기술의 흥미와 이해, 창의적 설계 과정, 평가 영역의 다양성 등의분석 요소에 대한 기준에는 다소 미흡하였고, 개발하는 과정에서도 해당 요소를 충족시키기에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STEAM 수업 자료를 개발할 때는 예비교사들에게 이러한 요소의 중요성을 정확하게 인식하도록 하여 단계적, 점진적으로 STEAM 수업 자료를 개발할 수 있는 기회와 학교 현장과 연계된 프로그램을 통하여 STEAM 교육을 실행해 볼 수 있는 실제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EAM instructional materials centered on mathematics developed by pre-service teachers and the difficulties they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ir ability to develop STEAM instructional materials. To this end, the course “Understanding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was operated in the first semester of 2022, and five types of STEAM teaching materials developed by pre-service teachers and focus group interview data from two teams were collec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in the areas of STEAM education goals, STEAM activity processes, STEAM evaluation, and STEAM education application, it was found that the criteria for analysis elements such as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technology, creative design process, and diversity of evaluation areas were somewhat insufficient, and it was difficult to meet these elements in the development process. Therefore, when developing STEAM instructional materials,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e-service teachers with an opportunity to develop STEAM instructional materials in a step-by-step and gradually manner by having them accuratel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se elements, and to provide them with practical experience in implementing STEAM education through programs linked to school fiel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지
  • 과학교육연구지
  • 한국기술교육학회지
  • 한국기술교육학회지
  • 생물교육
  • 학교수학
  •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초등과학교육
  • 교육과정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 학교수학
  •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학교수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 집
  • 현장과학교육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학교수학
  • 다문화교육연구
  •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 수학교육논문 집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Harrisburg, PA: Pennsylvania Department of Education
  • Thousand Oaks, California
  • School of Engineering Education Working Papers
  •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 Creative Education
  • Innovative Higher Education
  •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Scienc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혜숙(Hyesook Han),옥보명(Bo-myoung Ok),최희선(Heesun Choi). (2024).예비교사들의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수업 자료 개발 역량에 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7 (4), 559-584

MLA

한혜숙(Hyesook Han),옥보명(Bo-myoung Ok),최희선(Heesun Choi). "예비교사들의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수업 자료 개발 역량에 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7.4(2024): 559-584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