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훈육방식이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78

영문명
The Effects of Father’s Parenting Attitude and Discipline on the Child’s Self-Regulation Ability.
발행기관
한국영유아교육실천학회
저자명
김민주(Minju Kim)
간행물 정보
『영유아교육실천연구』제2권 제2호, 169~18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자연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훈육방식,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 및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시, 경기도 및 부산시의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 중인 유아 221명과 그 아버지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적률상관분석 및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아버지의 양육태도 중 통제적 양육태도와 자기조절능력 간에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리고 아버지의 훈육방식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훈육방식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아버지의 양육태도 중 통제적 양육태도가 전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하위요인에 대한 강력한 정적 예측변인이었고 다음으로 거부적 양육태도가 부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능력의 하위요인인 자기통제, 주의집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아버지의 통제적 양육태도가 정적인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영향력을 미치는 아버지 요인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아버지의 양육태도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nd relative influence between the father’s parenting attitude, discipline method, and the child’s self-regulatory ability. this study surveyed 211 children and their fathers living in Seoul, Gyeonggi-do, and Busa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father’s controlling parenting attitude and the child’s self-regulatory ability. However,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father’s discipline method and the child’s self-regulatory ability. Second, when examin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father’s parenting attitude and discipline method on the child’s self-regulatory ability, the father’s controlling parenting attitude was found to be a strong positive predictor of the overall self-regulatory ability and sub-factors of the child, while the father’s rejecting parenting attitude was a negative predictor. Among the sub-factors of self-regulatory ability, self-control and attention were positively predicted by the father’s controlling parenting attitude. In conclu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s the father-related factors influencing the child’s self-regulatory ability, and suggests that the finding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strategies to improve the father’s parenting attitude to enhance the child’s self-regulatory abilit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교육과학연구
  • 미래유아교육학회지
  • 중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유아교육연구
  • 생활 과학연구논총
  •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유아교육연구
  • 영유아교육 실천연구
  • 유아교육연구
  •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아동학회지
  • 유아교육연구
  •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영유아교육지원 연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부산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안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국보육학회지
  •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위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한국교육문제연구
  • 상담학연구
  •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보건사회연구
  •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 한국아동교육학회지
  • 글로벌사회복지연구
  • 미래유아교육학회지
  • Developmental Psychology
  • Genetic Psychology Monographs
  • American Journal of Play
  • Annual Review of Psychology
  • Journal of Clinic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 In Interpersonal development
  • In P. H. Mussen (Ed.), Carmichael's Manual of Child Psychology
  • Journal of Consulting & Clinical Psychology
  • Developmental psychology
  • In E. M. Hetherington (Ed.), Mussen manual of child psychology
  • Dev. Psychol.
  • Eugene. OR: Castalia Publishing Company
  • Child Development
  • Child Development Perspectiv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주(Minju Kim). (2024).아버지의 양육태도와 훈육방식이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 영유아교육실천연구, 2 (2), 169-188

MLA

김민주(Minju Kim).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훈육방식이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 영유아교육실천연구, 2.2(2024): 169-188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