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북한의 사이버전 역량변화와 위협 전망: 군사적 관점을 중심으로

이용수 509

영문명
Prospects for Changes in North Korea’s Cyber Warfare Capabilities and Threat: Focused on a Military Perspective
발행기관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저자명
홍준기(Jun Ki Hong) 박상중(Sang Jung Park)
간행물 정보
『사회융합연구』제8권 제6호, 93~106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군사적 관점에서 최근 급변하고 있는 북한의 사이버전 역량변화를 분석하고, 미래의 위협과 대응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기존 연구는 북한 전문가와 과거 자료에 머무르는 한계가 있어서 이 연구에서는 구체적인 최신 사례 중심으로 차별화하였다. 북한은 북·러 新조약 체결, 지방발전 20×10 정책 추진, 인공지능(AI) 기술 발전 등 국내·외 환경변화에 따라 출신성분을 배제한 능력 위주 사이버전 인재 선발과 인력 증강, 교육훈련 체계 강화, 사이버 공격 양상 및 기술의 고도화에 매진하고 있다. 특히, 북한은 新조약을 근거로 사이버전 역량을 획기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김정은은 자신이 직접 관리하는 경제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해 사이버 공격을 사회기반 분야까지 확대하고 있다. 앞으로도 북한은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여 더욱 파괴적인 사이버 공격을 수행할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한국은 북한의 사이버 위협을 포함한 전방위 사이버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한·미 사이버 안보 협력을 강화하고, 총체 전력의 관점에서 첨단 인공지능 기술을 사이버전에 본격적으로 적용하는 등 충분한 대응역량을 발전시켜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nalyzed North Korea's rapidly changing cyber capabilities and presented countermeasures against future threats from a military perspective. Previous studies had limitations in staying in past data with North Korea experts, so this study differentiated them based on specific latest cases. North Korea is focusing on selecting cyber warfare talents and increasing manpower, strengthening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s, and upgrading cyber attack patterns and technologies, focusing on excluding background components in accordance with domestic and foreign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the signing of the New Treaty between North Korea and Russia, promoting local development 20×10 policies, and develop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In particular, North Korea laid the foundation for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cyber warfare capabilities based on the New Treaty. In addition, cyber attacks are expanding into the social infrastructure sector to support the economic policies directly managed by Kim Jong-un. It is expected that AI technology will be applied more to North Korea's destructive cyber attacks in the future. In conclusion, Republic of Korea (ROK) should strengthen ROK-U.S. cybersecurity cooperation and develop its capabilities to fully respond to all-round cyber threats, including North Korea's cyber threats, by applying cutting-edge AI technology to cyber warfare in earnest from the perspective of total power.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3. 북한의 사이버전 환경변화 평가
4. 북한의 사이버전 인력 확충과 교육훈련 체계의 강화
5. 북한의 사이버 공격 양상 및 기술의 발전
6. 미래 북한의 사이버전 위협 전망 및 대응방향
7.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통령실 국가안보실
  • 보전략연구원 INSS 전략보고
  • 한국국가안보
  • 국가안보전략연구원
  • 한빛미디어
  • 北韓
  • 도서출판 플래닛미디어
  • 현대북한연구
  • 한국과학사학회지
  •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 국립외교원 외교안보
  • 전략연구
  • 통일정책연구
  • 韓日軍事文化硏究
  • 국방정책연구
  • 현대경제연구
  • 문사회
  • 도서출판 선인
  • 도서출판 책과 나무
  • 플래닛미디어
  • 東西硏究
  • 안보전략연구
  • NORTH Report
  • SIPRI Report
  • TRADOC Pamphlet 525-92
  • JO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준기(Jun Ki Hong),박상중(Sang Jung Park). (2024).북한의 사이버전 역량변화와 위협 전망: 군사적 관점을 중심으로. 사회융합연구, 8 (6), 93-106

MLA

홍준기(Jun Ki Hong),박상중(Sang Jung Park). "북한의 사이버전 역량변화와 위협 전망: 군사적 관점을 중심으로." 사회융합연구, 8.6(2024): 93-106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