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 이용 청소년들의 사회적 낙인감과 회복탄력성의 관계: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이용수 437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Resilience of Adolescents Who Use the Out-of-school Youth Support Center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rotective Factors
발행기관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저자명
오서현(Seo Hyeon Oh) 한성민(Seong Min Han) 김미정(Mi Jung Kim)
간행물 정보
『사회융합연구』제8권 제6호, 67~82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를 이용하는 청소년들의 사회적 낙인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자아존중감, 가족 지지, 또래집단의 친사회적 특성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 대구광역시, 강원도, 전라남도, 서울지역의 센터 이용 청소년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300부의 데이터를 SPSS 25.0 및 SPSS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 낙인감이 높을수록 회복탄력성이 낮아지는 부정적 관계가 확인되었고, 자아존중감, 가족 지지, 또래집단의 친사회적 특성은 이를 완화하는 조절효과를 보였다. 반면, 친구 지지와 성인 지지는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가족 및 또래 지지 강화를 통한 개입과 사회적 낙인 감소를 위한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social stigma on the resilience of out-of-school youth and examined whether self-esteem, family support, and prosocial characteristics of peer groups have moderating effect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20 out-of-school youth from youth support centers in Gyeongsangbuk-do, Daegu, Gangwon-do, Jeollanam-do, and Seoul, targeting those aged 9 to 24. After excluding invalid responses, data from 300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SPSS Process Macro. The results revealed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resilience, indicating that higher levels of social stigma correlate with lower resilience. Self-esteem, family support, and prosocial peer group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in mitigating the negative impact of social stigma, while friend support and adult support did not exhibit meaningful moderating effect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interventions that strengthen self-esteem, family support, and peer group connections among out-of-school youth, along with policies to reduce social stigma.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예명대학교
  • 보건사회연구
  • 청소년학연구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신라대학교
  • 벤처창업연구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학교사회복지
  • 가족과 문화
  • 청소년복지연구
  • 사회과학연구
  • 미래청소년학회지
  • 문화교류와 다문화 교육
  • 학교사회복지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Depression and Anxiety
  • Psychological Methods
  • Social Work Research
  • Guilford Press
  • Communication Monographs
  •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서현(Seo Hyeon Oh),한성민(Seong Min Han),김미정(Mi Jung Kim). (2024).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 이용 청소년들의 사회적 낙인감과 회복탄력성의 관계: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사회융합연구, 8 (6), 67-82

MLA

오서현(Seo Hyeon Oh),한성민(Seong Min Han),김미정(Mi Jung Kim).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 이용 청소년들의 사회적 낙인감과 회복탄력성의 관계: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사회융합연구, 8.6(2024): 67-82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