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경 지역 학교에서 바라본 문화적 공감의 의의 : 태국-미얀마 국경 지역을 사례로

이용수 39

영문명
The Significance of Cultural Empathy in Border area Schools : A case study of the Thailand-Myanmar Border area
발행기관
글로벌교육연구학회
저자명
이은지(Eun Ji LEE)
간행물 정보
『글로벌교육연구』제16집 4호, 65~9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문화적 공감은 다른 문화나 민족적 배경을 가진 타인의 경험을 이해하고 정서적으로 공감하는 역량을 의미한다. 국경 지역은 이주로 인해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지닌 집단이 모여 사는 공간으로, 문화적 공감의 역량을 쉽게 찾아볼 수 있는 곳이자 그 중요성이 더욱 요구되는 곳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자문화기술지를 활용하여 교사로서의 경험과 교수 여정을 토대로 태국-미얀마 국경 지역에 위치한 학교에서 찾아볼 수 있는 문화적 공감의 요소를 분석하고, 문화적 공감이 교육 공동체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의의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적 공감 측정 도구의 ‘공감적 감정과 표현, 공감적 관점 취하기, 문화적 차이의 수용, 공감적 인식’이라는 4가지 하위 요소를 추출하여 태국-미얀마 국경의 현지 학교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 글은 다양한 문화가 혼재하는 국경 지역에서 문화적 공감이 하는 역할을 밝힘으로써,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문화적 차이를 문화적 공감의 관점으로 수용하는 것의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Cultural empathy refers to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emotionally empathize with the experiences of others who have different cultures or ethnic backgrounds. Border regions are places where groups with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live together due to immigration, and it is a place where cultural empathy is easily found and its importance is even more demanded. This study analyzed the elements of cultural empathy found in schools located in the Thailand-Myanmar border region based on the teacher's experience and teaching journey by utilizing autoethnography, and presented the significance of the role of cultural empathy in the educational community. To this end, the four sub-elements of the cultural empathy measurement tool, ‘Empathic feeling and expression, Empathic perspective taking, Acceptance of cultural differences, and Empathic awareness’ were extracted and cases observed in local schools on the Thailand-Myanmar border were analyzed. This article aims to reveal the role of cultural empathy in border regions where various cultures coexist, and to suggest the importance of accepting cultural differences that anyone can exper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empath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국경 지역 학교에서 바라본 문화적 공감의 의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한국태국학회 논총
  • 현대사회와 다문화
  • 교육인류학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세계지역연구논총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 교육학연구
  • 초등교육연구
  • 교육인류학연구
  • 한국초등교육
  • 글로벌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교육과 문화
  •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지(Eun Ji LEE). (2024).국경 지역 학교에서 바라본 문화적 공감의 의의 : 태국-미얀마 국경 지역을 사례로. 글로벌교육연구, 16 (4), 65-92

MLA

이은지(Eun Ji LEE). "국경 지역 학교에서 바라본 문화적 공감의 의의 : 태국-미얀마 국경 지역을 사례로." 글로벌교육연구, 16.4(2024): 65-92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