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Directional Changes in the Webtoon
by Time Period - 발행기관
-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 저자명
- 임소영(So Yeong Lim)
- 간행물 정보
- 『스마트미디어저널』제13권 제12호, 156~161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컴퓨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시기에 따라 샷과 앵글, 프레임, 시점이 변화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외모지상주의>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샷은 클로즈업샷과 바스트샷이 빈도수가 높았고 앵글은 아이레벨과 하이앵글이 높았으며, 더치 앵글은 과거 회상 장면과 기억해야 할 장면에서 주로 나타났다. 프레임은 사면 프레임에서 가로 프레임 빈도수가 증가하였다. 가로 프레임은 등장인물들의 객관적인 현재 상황을 보여주었고, 사면 프레임은 등장인물의 생각이나 추측 등 내면적인 상황을 보여주었다. 프레임이 없는 컷은 풀샷과 아이레벨, 그리고 정면 시점으로 독자에게 정확하게 보여주고자 컷으로 나타났다. 시점은 정면 시점과 3인칭 시점이 높은 빈도수를 보였으며, 시기별로는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웹툰 <외모지상주의>에서 나타난 샷과 앵글은 2020년 이전에는 변화가 심하였으나, 2021년부터는 전체적으로 일정한 비율을 보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focuses on analyzing , paying attention to how shots, angles, frames, and perspectives change over time. Close-up and bust shots were frequently used, while eye-level and high-angle shots were predominant. Dutch angles mostly appeared in flashback scenes or in scenes that needed to be remembered. The frequency of horizontal frames increased, which were used to portray the characters' objective present situation, whereas four-sided frames depicted their inner thoughts or assumptions. Frameless cuts often used full shots, eye-level angles, and front views to objectively and accurately convey scenes to the reader. The most frequent perspectives were front and third-person views, with no significant changes over time. The shots and angles in fluctuated greatly before 2020, but starting from 2021, they showed more consistent patterns overall.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