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vestigating the Social Service Needs of People with Type 1 Diabetes - A Focus o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 발행기관
- 글로벌지식융합학회
- 저자명
- 박유정(Yujeong Park) 김정화(Jeonghwa Kim)
- 간행물 정보
- 『지식융합연구』제7권 제2호, 335~35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과 청년 1형당뇨병 환자의 주관적 건강상태, 삶의 만족도, 사 회서비스요구도를 분석하여 전인적 의료사회복지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 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인슐린치료를 1년 이상 유지한 1형당뇨병 9 세-39세 환자 216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5.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1형 당뇨병 청소년과 청년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평균 3.46점(5점 만점), 삶의 만족도는 평균 5.63점(10점 만점)으로 나타 났다. 둘째, 합병증이 없고(r=-.264, p<0.01), 주관적 건강상태가 높은(r=.585, p<0.01) 조사대상자가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사회서비스 요구도 분석 결과, 청소년은 청년에 비해 건강이해와 건강관리의 어려움을 호소하며 이에 대한 사회서비스 요구도가 모두 높았고, 당뇨병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에 대해서는 청년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청소년과 청년이 활동하는 학교와 직장 내 불편감, 지역별 편차, 단계별 당뇨병 이해와 관리 교육 부족, 스트레스 대처 상담 부재, 당뇨병으로 인한 사회관계의 한계 등을 공통적으로 호소하고 있어 이에 대한 정책 마련을 통한 사회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service needs of adolescent and young adult with type 1 diabetes, aiming to provide a basis for establishing holistic medical and social policies. Data were collected from 216 patients aged 9-39 years with type 1 diabetes who had been on insulin treatment for at least one year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SPSS 25.0. The results showed than the averag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with type 1 diabetes was 3.46(out of 5 points) and the average life satisfaction was 5.63(out of 10 points). Second, it was found that participants without complications(r=-.264, p<0.01) and with higher subjective health status(r=.585, p<0.01) reported greater life satisfaction. Third, Analysis of social service needs showed that adolescents had higher social service needs for health literacy and health management difficulties compared to young adults, and young adults had higher social service needs for financial burden due to diabetes. However,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commonly complain about discomfort in schools and workplaces, regional differences, lack of education on understanding and managing diabetes at each stage, absence of counseling on coping with stresses, and limitations in social relationships due to diabetes,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social services through policy development.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한국모자보건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Diabetes
- The Journal of Korean Diabetes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Journal of Korean Diabetes
- Journal of Korean Diabetes
- 산업융합연구
-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DMJ)
- The Journal of Korean Diabetes
- 보건사회연구
- 보건사회연구
- Diabetes Care
- Diabetes & Metabolism Journal
- British Medical Journal Open
- Medicine
-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 Journal of Psychosocial Nursing and Mental Health Services
- Korean Diabetes Association
- Diabetic medicine
- Korea Citation Index Academic Journal
-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 Lancet
- The Lancet
- Diabetes Med
- WHO South-East Asia Journal of Public Health
- Psychological repor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