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for Mental Health Nursing Competency - Focused on Non-psychiatric Nurses
- 발행기관
- 글로벌지식융합학회
- 저자명
- 서지혜(Jihye Seo) 이우진(Ujin Lee) 김명석(Myeongsuk Kim)
- 간행물 정보
- 『지식융합연구』제7권 제2호, 153~17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비정신과 간호사를 대상으로 정신간호역량 강화 교육 프로 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 요구를 탐색하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은 일개 병원의 비정 신과 간호사이며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적용한 질적 내용분석 연구이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비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간호역량 교육 요구를 교육 내용, 교육 방법, 교육 환경으로 범주화하였다. 교육 내용은 ‘안전을 위한 개입 기술’, ‘증상별 간호 중재 기술’, ‘정신건강의학과 보호병동으로의 전과 및 전동과 관련된 정보’, ‘구 체적인 보고 지침’으로 4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교육 방법은 ‘사례별 교육’, ‘단계 별 시뮬레이션 교육’, ‘역지사지 체험 교육’, ‘매뉴얼을 활용한 교육’으로 4개의 주제 가 도출되었다. 교육 환경은 ‘임상 상황과 유사한 환경 구현’, ‘반복적인 교육이 가 능한 환경’으로 2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비정신과 간호사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정신간호역량 교육 요구를 살펴볼 수 있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 는 정신간호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ducational needs for the development of a mental health nursing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for non-psychiatric nurse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non-psychiatric nurses from a specific hospital, and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The results categorized the educational needs of non-psychiatric nurses into three areas: educational content, 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n terms of educational content, four topics were identified: “intervention techniques for safety”, “nursing interventions based on symptoms”, “information related to transfer from psychiatric wards”, and “reporting guidelines” The educational methods included “case-based education”, “step-by-step simulation training”, “empathy-based experiential learning”, and “manual-based educati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as categorized into two themes: “implementation of an environment similar to clinical situation” and “an environment that allows for repetitive training” In conclusion, the focus group interviews with non-psychiatric nurses provided insights into their educational needs for mental health nursing competencies. The findings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mental health nursing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국립정신건강센터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정신간호학회지
- 한국간호시뮬레이션학회지
- 정신간호학회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정신간호학회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정신간호학회지
- 정신간호학회지
- 대한보건연구
- 정신간호학회지
- 교육문제연구
- 정신간호학회지
- 동서간호학연구지
- 정신간호학회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정신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정신간호학회지
- 인문사회21
- 기본간호학회지
- 정신간호학회지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 Journal of Public Health
-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 World Psychiatry
- European Psychiatry
- Journal of Clinical Medicine
- International Emergency Nursing
- Hospital Pediatrics
- Qualitative health research
- BJPsych Open
-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 Globalization and Health
-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 Journal of advanced nursing
- Journal of advanced nursi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