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atory Study on the Education Integrating Culports Approach
- 발행기관
- 글로벌지식융합학회
- 저자명
- 김선영(Sun-Young Kim) 이헌종(Heonjong Lee)
- 간행물 정보
- 『지식융합연구』제7권 제2호, 81~10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컬포츠(culports^culture+sports) 교육은 유·무형의 문화유산, 놀이와 스포츠 등과 교육적 요소를 융합해 접근하는 체험형 학습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초기 연 구에서는 고고문화 유적을 컬포츠 소재로 활용해 왔으나, 그 적용 범위가 점차 교 육 영역 전반으로 확산되는 흐름을 보인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사교육 수요 증가, 지역간 교육격차 확대 등의 문제가 대두되면서 컬포츠를 소재로 활용한 교수 및 학 습모델이 새로운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컬포츠 기반의 교육 접근이 학교 교과 과정과 유기적으로 결합하면, 전통적 교실수업의 단점을 보완하는 상호보완성을 기대할 수 있다. 컬포츠의 적용 가능성을 탐구하는 연구들은 컬포츠 기반의 융합 콘텐츠를 개발해 초등 및 중등 ‘방과후학교’ 교과과정에 적용하면, 학습의 자기 주 도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결과를 내놓았다. 본 연구는 컬포츠의 적용 가 능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교육적 특성을 고찰하고, 컬포츠와 정규 교과과정을 융합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는 데 있다. 특히, 영어교육의 관점에서 컬포 츠 소재를 활용한 교수 및 학습모델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컬포츠 기반의 영어 교육 프로그램은 방과후학교의 자기 주도 학습을 촉진시키고, 수준별 심화학습이 가능한 교육적 특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컬포츠의 적용 가능성을 영어, 수학, 국어 등 정규 교과과정 전반으로 넓힐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영문 초록
Culports (culture+sports) education refers to experiential learning approaches that incorporate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lay, and sports into educational elements. The Culports education is being recognized as a new alternative approach to the models of teaching and learning as a public educational system is pushed out by increasing demand for private education and widening educational disparities between regions after COVID-19. In this aspect, if practitioners are able to integrate Culports-based educational approaches with school curricula, it is possible to expect mutual interaction that overcomes the shortcomings of traditional classroom teaching. A course of studies exploring the potential of Culports have shown that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content based on Culports and its application to after-school programs 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can enhance self-directed learning. The current study tried to establish a theoretical basis for integrating Culports with regular curricula by reviewing previous research and thus to explore its application to English educ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Culports-based English programs could promote self-directed learning in after-school programs in various ways. From the perspective of English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the way to develop Culports model of teaching and learning.
목차
1. 서론
2. 컬포츠 선행연구 고찰
3. 컬포츠의 적용 가능성
4. 컬포츠 영어교육 고찰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언어과학
- 중등영어교육
- 교육문화연구
-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 한국교육개발원
- 동계학술대회 논문집
- 교육논총
- 영어영문학
-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초등영어교육
- 방과후학교연구
- 중등교육연구
- 영어교육연구
- 교육행정학연구
-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 지방사와 지방문화
- 지방사와 지방문화
- 교육행정학연구
- 방과후학교연구
- 아동복지연구
- Annual Review of Applied Linguistics
- System
- TESOL Quarterly
- TESOL Quarterly
- The Canadian Modern Language Review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