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주거서비스 관계법령 운영 현황 분석 및 문제점 도출 연구

이용수 101

영문명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Housing Service-Related Laws and Identification of Problems
발행기관
한국주거환경학회
저자명
황은경(Eun Kyoung Hwang) 염태준(Tae Jun Yeom) 조현미(Hyun Mi Cho)
간행물 정보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제22권 제4호 (통권 제66호), 55~66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개발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The paradigm of recent housing policies is rapidly shifting from Housing Supply to Housing Welfare. To support this transition, the housing market should also evolve from merely supplying housing as hardware to revitalizing a Housing Service Industry that can respond to the diverse needs of citizens. In this study, we aim to identify the laws currently governing Housing Services and their associated issue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policy improvements.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structure and specific standards of related laws in fields where the Promotion Act is applied, including architecture, real estate, and logistics. Key provisions within these laws for service activation and promotion include the training of specialized personnel, support systems, and certification programs. In the field of Housing Services, relevant provisions were found in the Housing Basic Act, the Act on Housing Support for Vulnerable Groups, the Administrative Guidelines on Publicly Supported Private Rental Housing, and the Certification Standards for Housing Service in Private Rental Housing. The key issues identified from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lack of definitions for Housing Welfare and Housing Services, (2) overlapping roles between housing welfare centers and housing support centers, (3) insufficient institutional support for utilizing specialized housing service personnel, and (4) the absence of a foundational system and expansion plans for the Housing Service Certification in publicly supported private rental multi-family housing. It is deemed necessary to further identify and incorporate field-specific issues to prepare concrete measures for policy improvement in the future.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서비스 관련 법령 운영 현황
Ⅲ. 주거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법조항 및 운영상 문제점 도출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한국생활과학회지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한국도시연구소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 주거서비스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 세미나, 한국주거학회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대한주택 공사
  • 교 문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은경(Eun Kyoung Hwang),염태준(Tae Jun Yeom),조현미(Hyun Mi Cho). (2024).주거서비스 관계법령 운영 현황 분석 및 문제점 도출 연구.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22 (4), 55-66

MLA

황은경(Eun Kyoung Hwang),염태준(Tae Jun Yeom),조현미(Hyun Mi Cho). "주거서비스 관계법령 운영 현황 분석 및 문제점 도출 연구."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22.4(2024): 55-66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