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Research on UX Design Education using Figma : Focusing on Prototyping for Implementation of Parallax Web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홍순재(Soon Jai Hong)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9, No. 4(통권 33권), 922~931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피그마(Figma)를 활용한 패럴랙스 웹 구현 중심의 NCS 기반 UX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사용자 경험(UX)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본 연구는 패럴랙스 웹 디자인을 통해 사용자 몰입감을 강화하는 기법을 학습하며 학생들의 창의성과 실무적 역량을 심화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교육은 15주간 진행되었으며, 스토리보드 제작, 심미성 구성요소 설계, 프로토타이핑, 사용자 테스트 및 개선 과정을 포함한 체계적인 학습 활동을 통해 진행되었다. 피그마의 협업 기능과 프로토타이핑 도구를 활용해 학생들은 패럴랙스 웹 구현 기술과 사용자 중심 설계 역량을 효과적으로 습득하였다. 연구 결과, 수강생들은 자유로운 주제 선택과 반복적인 개선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피드백을 반영하며 패럴랙스 웹의 시차 효과와 모션적 특성을 성공적으로 구현하였다. 교육과정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기존의 정적인 웹 디자인에서 벗어나 사용자 몰입감과 경험을 강화하는 디자인 역량을 체득하였다. 그러나 실제 사용성 평가의 한계와 다양한 도구 간 비교 연구의 부재는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남았다.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심화된 동적 디자인 기법을 포함한 교육과정 개발과 사용자 테스트를 통한 실질적 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실습 중심 UX 디자인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며, 디지털 디자인 교육의 발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n NCS-based UX design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parallax web implementation using Figma. With the growing importance of User Experience (UX) in the era of digital technology, this research emphasizes enhancing students' creativity and practical skills through the learning of parallax web design techniques that enhance user engagement. Conducted over 15 weeks, the program included systematic learning activities such as storyboard creation, aesthetic component design, prototyping, usability testing, and iterative improvements. Utilizing Figma’s collaboration features and prototyping tools, students effectively acquired skills in parallax web implementation and user-centered design.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successfully implemented the parallax effect and motion-specific features by integrating user feedback through iterative refinement and creative design. They demonstrated high levels of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and developed advanced design capabilities that transcend static web design, enhancing user engagement and experience. However, the study’s limitations include insufficient usability testing and the lack of comparative analysis with other prototyping tools. Future research should incorporate advanced dynamic design techniques and conduct comprehensive usability evaluations to address these gaps. This study highlights the potential of practice-based UX design education and provides a roadmap for advancing digital design educa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피그마를 활용한 패럴랙스 웹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4. 교육 프로그램 실행과 검증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멀티미디어학회
- 디자인학연구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멀티미디어학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