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Marketing Strategies of Clothing Brands Based on Online Shopping Models : Centered on Sales Data Analysis of China's TikTok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곽기(QI GUO) 이성원(Sung Wo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9, No. 4(통권 33권), 668~681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틱톡 플랫폼의 의류 브랜드를 중심으로 온라인 구매 모델에서의 의류 브랜드 마케팅 전략을 살펴보았다. 2024년 3분기 틱톡 플랫폼에서의 의류·속옷 카테고리의 판매 데이터를 대상으로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및 선형 회귀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라이브 방송, 사용자 평가 및 조회수 등의 요인이 판매량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냈다. 연구 결과, 전체 리뷰 수, 조회수는 판매량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품을 홍보하는 인플루언서의 수가 증가하면 판매량이 크게 증가할 수 있으나, 판매 상품의 수가 증가하면 판매량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영상과 라이브 방송의 수는 판매량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의류 산업이 디지털 전환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전략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소셜 미디어 마케팅이 전자상거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밝혀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의류 브랜드가 틱톡 플랫폼을 통해서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구축하여 판매 성과를 높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clothing stores on the TikTok platform, exploring the marketing strategies of fashion brands under the online shopping model. The research uses sales data of clothing and underwear categories on TikTok in the third quarter of 2024 as a sample, and reveals the impact of factors such as live streaming with product promotion, user reviews, and browsing volume on sales through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found that user reviews (all review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sales, and browsing volume is strong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sales. Additionally,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roduct promoters can significantly boost sales, while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roducts promoted may reduce sales. The number of promotional videos and live streams with product promotion has no significant impact on sales. The research provides a new perspective on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fashion industr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social media marketing in e-commerce. Especially for clothing stores on the TikTok platform,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can significantly improve sales performanc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분석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Journal of Marketing
- Journal of Global Information Management
- 1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Communication Technology
- The Journal of the Anthropological Institute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 The London, Edinburgh, and Dublin Philosophical Magazine and Journal of Science
- Frontiers in Psychology
- Journal of Management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 Asia Pacific Journal of Marketing and Logistics
- International Journal of Creative Research Thoughts
- Social Science Journal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