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a Major-Specific Platform Model for Enhancing Employability in Design Majors : Focused on Communication Design Major in K University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이경아(Kyung Ah Lee) 이지연(Ji You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9, No. 4(통권 33권), 399~41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K대학교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의 사례를 중심으로 전공 플랫폼 모델을 개발하였다. 급변하는 디자인 산업과 교육 환경의 요구를 분석하여 학습 성과 관리와 취업 능력 강화를 지원할 전공 플랫폼의 필요성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공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전공 플랫폼 모델은 개념화 단계를 거쳐 실제 구현하였으며, 학생들이 전공 역량을 체계적으로 발전시키고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는 디지털 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본 연구는 학습 성과 관리, PBL 연계 실무 활동, 멘토링과 인턴십 네트워킹을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전공 플랫폼을 통해 학생들이 변화하는 산업 환경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도록 돕는다. 그리고, 포트폴리오 관리와 전문가 피드백 시스템을 통해 자기주도적 학습과 실질적인 취업 준비를 지원하여, 전공 능력을 체계적으로 발달시킬 수 있는 구조 모델로 제시하였다. 또한, 플랫폼 운영 과정에서의 보완점을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발전 가능성을 탐구하여, 디자인 전공 교육의 혁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eveloped a platform model for the Department of Communication Design at K University to meet the demands of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By analyzing the evolving design industry and educational needs, the necessity for a system to manage learning outcomes and enhance employability was identified. The platform integrates portfolio management, PBL-based activities, mentoring, and networking to support self-directed learning, employment preparation, and systematic competency development. Additionally, educational programs were developed to align with industry needs, providing students with practical experience. Insights are provided for sustainable innovation in design education.
목차
1. 서론
2. 현황 및 배경 분석
3. 취업 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4. 전공 플랫폼 모델과 취업 능력 강화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IAFOR Journal of Education
- 예술교육연구
- 상업교육연구
- 생명윤리정책연구
- 정보화정책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