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the demand of Hardshell jacket users based on KANO-AHP model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온우범(YU FAN WEN) 이성원(Sung Wo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9, No. 4(통권 33권), 135~15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아웃도어 스포츠 수요 증가로 아웃도어 의류의 기술 혁신과 디자인 발전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사용자의 아웃도어 의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Kano-AHP 모델을 기반으로 아웃도어 의류 중 하나인 하드쉘 재킷의 사용자 수요와 각 디자인 요소의 중요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Kano 모델을 통해 하드쉘 재킷에 대한 15가지 사용자 수요를 분석하고 이를 필수 품질속성(M), 기대 품질속성(O), 매력 품질속성(A)의 세 가지 품질속성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AHP 계층화 분석법을 사용하여 수집된 데이터로 판단 행렬을 구축하고, 디자인 요소의 가중치에 따른 우선순위를 계산하였다. 분석결과, 필수 품질속성(M) 중 '방수, 방습과 통기 기능'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이는 하드쉘 재킷이 극한 환경에서 사용자 보호를 위한 기능성을 핵심으로 삼아야 함을 강조한다. 따라서 하드쉘 재킷 디자인에서는 이러한 기능성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동시에 실용성과 혁신성, 전문성과 경제성을 조화롭게 반영하여 다양한 수요를 충족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디자인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사용자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growing demand for outdoor sports has intensified the need for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design development in outdoor apparel.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d user demands and the importance of design elements for hardshell jackets, a type of outdoor clothing, to enhance user satisfaction. Specifically, the study was conducted in two stages. First, the Kano model was applied to analyze 15 user demands for hardshell jackets, classifying them into three quality attributes: Must-be Quality(M), One-dimensional Quality(O), and Attractive Quality(A). Second,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method was used to construct a judgment matrix from the collected data, calculate the weights of design elements, and determine their prioriti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among the Must-be Quality(M) attributes, “waterproofing, moisture resistance, and breathability” were the most critical factors, highlighting the fundamental purpose of hardshell jackets to protect users in extreme environments. Therefore, these functionalities should be prioritized in the design of hardshell jackets. At the same time, practicality, innovation, professionalism, and cost-effectiveness should be harmoniously integrated to meet diverse user needs. By presenting effective and practical design solutions, this study contributes to enhancing user satisfaction and advancing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outdoor clothing desig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하드쉘 재킷 사용자 수요 분석
4. AHP 계층화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한국일러스아트학회
- 한국품질경영학회
- Journal of Fashion Business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 The Journal of Japanese Society for Quality Control
- 現代紡織技術
- 設計
- 服裝設計
- 產品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