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ase Analysis of Interactive Experience Space Design for Sports Brands Using the Metaverse : Focusing on Nike, Adidas, and Puma
- 발행기관
- 한국공공디자인학회
- 저자명
- 심원(Yuan Shen) 송지성(Ji-Sung Song)
- 간행물 정보
- 『공공디자인연구』제15호, 37~4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메타버스 기술의 발전은 사용자 요구와 브랜드-사용자 간 상호작용 방식을 변화시키며, 스포츠 브랜드의 디지털 마케팅 전략과 인터랙티브 체험 공간 디자인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메타버스와 스포츠 브랜드 인터랙티브 체험 공간의 효과적 구현에 대한 체계적 연구는 여전히 부족하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와 스포츠 브랜드 인터랙티브 체험 공간의 개념과 특성을 고찰하고, 나이키, 아디다스, 푸마의 사례를 통해 발전 방향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메타버스 유형(게임형, NFT형, XR형)과 주요 체험 요소(엔터테인먼트, 교육, 현실도피)의 결합 방식을 중심으로 문헌 조사와 사례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게임형 메타버스는 사용자 참여를 증대시키지만 장기적 관심 유지를 위해 혁신이 필요했다. NFT형 메타버스는 디지털 자산을 활용한 독창적 체험을 제공했으나 지속적 관심확보가 과제로 나타났다. XR형 메타버스는 개인화된 체험과 감정적 유대감 형성에 효과적이지만 높은 비용과 기술적 제약이 장애 요소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스포츠 브랜드 디지털 전환에 실질적 시사점을 제공하며, 향후 메타버스기술 발전과 사용자 요구 변화에 대응한 지속 가능한 디자인 전략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영문 초록
The advancement of metaverse technology has transformed user demands and brand-user interactions, presenting new possibilities for digital marketing and interactive experience space design for sports brands. However, systematic academic research on effective implementation is still lacking. This study explores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etaverse and interactive experience spaces for sports brands, analyzing cases from Nike, Adidas, and Puma to identify development directions. Literature reviews and case analyses were conducted, focusing on metaverse types (game-based, NFT-based, XR-based) and key experience elements (entertainment, educational, escapist). The study found that game-based metaverses boost user engagement but need innovation for sustained interest. NFT-based metaverses offer unique experiences through digital assets, but sustaining interest remains challenging. XR-based metaverses create personalized experiences and emotional connections, but high costs and technical limitations hinder large-scale adoption.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sports brands. It suggests that future systematic research is necessary to develop sustainable design strategies through the convergence of various metaverse types and to adapt to evolving user experience demands driven by advancements in metaverse technology.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메타버스를 활용한 스포츠 브랜드 인터랙티브 체험공간디자인 사례분석
4.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정보처리학회논문지
-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문화기술의 융합
-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경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스마트미디어저널
-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Economics of Innovation and NewTechnology
- In The SAGE Handbook of Digital Marketing
- Journal of Brand Management
- McKinsey & Company
- Journal of Retail & Distribution Management
- Free Press
- 독일: Springer VS
- Journal of Digital Marketi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