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erimental Study on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Protective Barriers in Petrochemical Plant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박수영(Sooyoung Park) 신이철(Yichul Shin)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4권 6호, 223~23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국내 플랜트에서 적용하고 있는 내화구조는 일반화재를 가정한 표준화재곡선을 적용한 시험을 실시하여 그 성능을 확인하도록하고 있으나, 정유플랜트나 석유화학플랜트와 같은 탄소량이 높은 물질을 취급하는 공정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화재와는 그 성상이 다르다. 따라서, 이러한 플랜트에 사용되는 부재는 탄화수소화재를 가정한 탄화수소화재곡선을 적용한 내화시험을 실시하여 내화성능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플랜트에서 화재, 폭발 위험을 저감하기 위해 설치하는 방호벽에 대하여 탄화수소화재시험을 실시하여 내화성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탄화수소화재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플랜트에서는 실제 사용되고 있는 방호벽이 두께나 종류에 따라 내화구조 규정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영문 초록
The performance of the fire resistance structure applied in domestic plants is evaluated by applying the standard fire curve assuming a general fire. However, such a fire is different from the fire expected to occur in the process of handling high-carbon materials, such as oil refinery plants and petrochemical plants. Therefore,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members used in these plants should be evaluated by conducting fire resistance tests using a hydrocarbon fire curve, assuming a hydrocarbon fire. In this study, a hydrocarbon fire test was conducted on a protective barrier installed in a plant to reduce the risk of fire and explosion and confirm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Consequently, it is judged that, in plants where hydrocarbon fires are likely to occur, the protective barriers used will not satisfy fire-resistance regulations, depending on the thickness or type.
목차
1. 서 론
2. 플랜트 시설물 내화시험 방법
3. 플랜트 방호벽 Hydrocarbon Test 개요
4. 플랜트 방호벽 Hydrocarbon Test 결과
5.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J. Korean Soc. Hazard Mitig.
-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