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ubric based on Teaching-Learning content of College practical writ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내관(Naekwan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3호, 898~919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 실용문 쓰기의 교수-학습 내용에 따른 루브릭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대부분의 글쓰기는 각 장르에 따른 교수법과 평가 준거가 있기 마련이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다양한 실용문 쓰기의 교수-학습 전략과 평가 준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이 논문에서는 예비 사회인으로서 글쓰기 자질 함양을 목적으로 하는 경남 소재 G대학의 <실용문쓰기> 과목에서 활용되는 교재인 《예비 사회인을 위한 실용문 쓰기》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과 내용에 주안점을 두어 탐색해 보았다. 나아가 <실용문쓰기>의 교수-학습 내용에 따른 학습 활동 분석과 인용문의 분석을 통하여 해당 글쓰기에 대한 루브릭을 제시하였다.
결과 <실용문쓰기> 과목에서 학습자는 생활⋅취업⋅직무 글쓰기 등 다양한 글쓰기 활동을 수행한다. 이 교과에서는 각각의 실용문에 대한 작성 원칙과 사례, 학습 활동 등에 주안점을 두고 학습자의 글쓰기 역량을 강화한다. 무엇보다 학습자는 다양한 실용문을 작성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게 된다.
결론 실용성이 강조되는 현실에서 대학 글쓰기 교육은 학생들이 졸업 후에도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교과 내용으로 변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변화된 글쓰기 교육 환경에서 학습자는 사회가 요구하는 다양한 장르별 글쓰기 방법을 터득하는 것이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학습자들은 대학 <실용문쓰기> 수업을 통하여 다양한 직무를 보다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기초적인 글쓰기 자질을 함양할 수 있게 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ubrics according to the teaching-learning content of college practical writing. Most writings have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criteria according to each genre.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present various teaching-learning strategies and evaluation criteria for practical writing.
Methods As a prospective member of society, I focused on the content of the textbook used in the course at G University, which aims to cultivate writing skills. Furthermore, I presented a rubric for the writing through learning activities and quotations based on the teaching-learning content of .
Results In the subject, learners were able to perform various writing activities such as writing about life, employment, and work. Above all, this subject focused on writing principles, cases, and learning activities for each practical writing. Thus, learners were provided with opportunities to write various practical writings.
Conclusions In a reality where practicality is emphasized, college writing education is changing into a curriculum that can provide practical help to students even after graduation. In the changing writing education environment, it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for learners to acquire the various genre-specific writing methods that society demands. Above all, learners can cultivate basic writing skills to perform various jobs more smoothly through college practical writing classes.
목차
Ⅰ. 서론
Ⅱ. <실용문쓰기> 과목의 성격과 개요
Ⅲ. 교수-학습 내용에 따른 학습 활동과 루브릭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