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eta-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programs for alleviating anger feeling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종배(Jongbae Kim) 황혜정(Heyjung Hw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3호, 820~836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15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분노 감정을 ‘이상동기 범죄’의 주요 원인으로 가정하고, 이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수용전념치료(ACT)에 주목하여, 분노 감정 완화에 미치는 ACT의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종합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분노 감정의 어려움을 나타내는 참여자에게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이 적용된 10편의 연구물을 선정하고, 이를 통해 ACT 프로그램의 분노 감정 완화 효과 크기를 산출하였다.
결과 수용전념치료는 ‘분노’, ‘특성분노’, ‘분노억제’, ‘분노표출’, ‘일차적 분노사고’, ‘이차적 분노사고’를 낮추는 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상태분노’와 ‘분노통제’를 낮추는 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메타분석 결과, 수용전념치료는 분노 감정 완화에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특히, 분노를 통제하기보다는 심리적 유연성을 높이는 접근이 효과적이라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의 한계점과 추가 제안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ssumed that anger is the main cause of ‘abnormally motivated crime’ and focused on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 a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for it, and attempted to comprehensively evaluate the effect of ACT on alleviating anger through meta-analysis.
Methods To this end, we used meta-analysis to select 10 studies that applied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programs to participants who showed difficulties in managing anger emotions, and calculated the size of the anger-reducing effect of the ACT program.
Results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anger’, ‘trait anger’, ‘anger suppression’, ‘anger expression’, ‘primary anger thoughts’, and ‘secondary anger thoughts’. However, it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state anger’ and ‘anger control’.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meta-analysis concluded that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is effective in alleviating anger emotions. In particular,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in providing theoretical grounds for the effectiveness of approaches that increase psychological flexibility rather than controlling anger.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additional suggestions were also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학지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인문사회 21
-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한국범죄정보연구
-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교정연구
-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교사교육연구
- 치안정책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 한국 심리학회지: 건강
-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 제
- 재활심리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에스앤엠 리서치 그룹
- 학지사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학지사
- New Harbinger Publications Inc.
-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 Psychological Methods
- Advence in Personality Assessment
- Anger and hostility in cardiovascular and behavioral disorder
- Psychology of Violenc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