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on middle school student delinquency: Comparison of before and after corona in academic journals published in April 2015-2024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원정(Jungwon Jung) 전효정(Hyojeong Je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3호, 666~677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15
국문 초록
목적 국내 KCI등재 학술지를 중심으로 중학생 비행에 관한 연구동향을 코로나 전과 후로 분석함으로써 연구의 시사점과 제언을 통해 향후 중학생 비행 연구에 대한 개입과 예방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15년부터 2024년 4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청소년 비행’ 과 중학생을 핵심어로 중학생의 비행을 다룬 논문을 검색하였다. 중학생 비행 논문 190편 중 검토를 통해 본 연구 목적에 맞는 56편을 대상으로 분석 준거에 따라 연구에 대한 시기별 추이와 학문 분야별 동향, 연구의 자료수집과 자료 분석 동향, 연구 변인별 동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연구 시기별로 살펴본 결과 2015년 11편의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이후 3-4편으로 연구가 되어지다, 2021년부터는 9편으로 급격한 증가와 함께 꾸준히 연구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연구자료 수집을 보면 다양한 기관의 패널자료를 이용한 코로나 전의 연구들과 달리 코로나 이후 연구에서는 패널자료에 의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코로나 전⋅후 가장 많이 사용된 패널자료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이였으며 56편의 연구 중 41편의 연구에 사용되었다. 분석 방법을 살펴보면 연구의 대부분이 회귀분석 계열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코로나 전 연구에서는 잠재성장모형 1편이 있었고 코로나 이후는 프로그램개발 1편이 있었다. 셋째 중학생 비행에 대한 연구변인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비행 중 사이버비행에 대한 변인 연구가 많았으며 그 외 개인 내 변인, 가족 및 부모, 학교 및 또래, 사회 및 국가로 구분하여 세부 분석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중학교 청소년 비행에 대한 10년 간의 연구를 코로나 전과 후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이를 통해 향후 연구의 제언과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on middle school delinquency before and after the coronavirus, focusing on KCI-registered journals in Korea, we aim to provide directions for intervention and prevention in future middle school delinquency research through research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Methods To this end, we searched for ‘youth delinquency’ published in Korea from 2015 to April 2024 and papers dealing with middle school students' delinquency with the keywords of middle school students. 56 of the 190 middle school student flight papers were reviewed, and trends by period and academic field, data collection and data analysis trends, and trends by research variable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criteria.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by research period, it can be seen that 11 studies were conducted in 2015, and then 3-4 studies were conducted, and from 2021, 9 studies have been continuously conducted with a rapid increase. Second, when looking at the collection of research data, it can be seen that most of the studies were based on panel data in post-COVID-19 studies, unlike pre-COVID studies that used panel data from various institutions.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phenal data before and after COVID-19, and it was used in 41 of 56 studies. Looking at the analysis method, most of the studies used the regression analysis series the most, and in pre-COVID studies, there was one potential growth model and one program development after COVID-19. Third, in the research variable on middle school student delinquency, there were many studies on various types of variables for cyber flight during flight, and other detailed analysis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m into individual variables, family and parents, schools and peers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ystematically organized 10 years of research on juvenile delinquency in middle schools into pre- and post-corona periods. We hope to provid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a basis for further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학지사
-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칼빈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한국가족복지학
- 청소년문화포럼
- 한국아동복지학
- 한국청소년연구
- 청소년상담학회지
- The Review of Social Science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한국사회복지교육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미래청소년학회지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연구보고서
-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교육문화 연구
- 인간발달연구
- 학지사
- 한국청소년연구
- 교육학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한국범죄학
- Criminology
-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 Adolescence
-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