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Types of Professional Adaptation and Influential Factors of No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정(Chung Park) 유신복(Shinbok Yu)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3호, 638~651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15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초등 신규교사의 교직적응 유형을 분석하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이 수집한 서울교원종단연구 2020의 1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교직 경력 5년 미만의 초등 신규교사 26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초등 신규교사의 교직적응 유형을 도출하기 위해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고, 추가적으로 교직 적응 프로파일에 미치는 영향 요인 탐색을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초등 신규교사의 교직적응 유형은 크게 네 가지로 구분되었으며,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및 학교적 요인이 도출되었다. 분석 결과, 만족형(51%), 성공형(22%), 불만족형(10%), 부적응형(17%)으로 명명하였다. 만족형 집단에 속할 확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교사역할인식정도와 자기이해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이 높을수록 부적응형에 비해 만족형 유형에 속할 가능성이 크게 증가하였다. 성공형 유형에 속할 확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기간제 교사 경험, 교수학습연수 참여, 교사역할인식정도, 자기이해, 학교장 리더십, 그리고 숙달목표구조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요인들이 높을수록 부적응형에 비해 성공형 유형에 속할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불만족형 유형에 속할 확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교사역할인식정도, 자기이해, 그리고 학교장 리더십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교사역할인식정도가 높을수록 부적응형에 비해 불만족형 유형에 속할 확률이 증가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초등 신규교사의 효과적인 교직 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향후 신규교사 교직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및 교육정책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fessional adaptation types of no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se types.
Methods To this end, a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collec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Results The analysis identified four types among no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atisfaction Type (51%), Successful Type (22%), Dissatisfied Type (10%), and Maladaptive Type (17%). Key findings revealed that significant predictors for being in the Satisfaction Type group included the level of teacher role recognition and self-understanding, with higher levels of these factors greatly increasing the likelihood of being classified as Satisfaction Type rather than Maladaptive Type.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ing the likelihood of being in the Successful Type included experience as a temporary teacher, participa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training, teacher role recognition, self-understanding, school principal leadership, and mastery goal structure. These factors, when higher,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Successful Type rather than the Maladaptive Type. Lastly, for the Dissatisfied Type, significant predictors were teacher role recognition, self-understanding, and school principal leadership, with higher levels of teacher role recognition specifically increasing the likelihood of being in the Dissatisfied Type over the Maladaptive Type.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data for supporting the effective adaptation of no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offers important insights for improving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educational polic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한국초등교육
- 초등교육연구
- 교육과학연구
- 교육사회학연구
- 교육학연구
- 교육과학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교육연구
- 초등교육연구
- 한국교육학연구 (구 안암교육학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교육평가 연구
- 교육평가연구
- 교육심리연구
- 교육평가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교육행정학연구
- 교사교육연구
- 교육평가연구
- 지방교육경영
- 교육연구논총
- 한국교원교육연구
- Handbook of educational psychology
-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 The sage handbook of quantitative methodology for the social sciences
-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