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지털 학습 도구를 이용한 ARCS 동기 활동이 온라인학습 지속의도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수업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134

영문명
The Impact of ARCS Motivation Strategies through Digital Learning Tools on Online Learning Continuance Intention and Achievement: The Mediating Role of Course Satisfac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조혜원(Hyewon Cho)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3호, 624~636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15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수업에서 디지털 학습 도구를 활용한 ARCS 동기전략 활동이 수업만족을 매개로 학습지속의도와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지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방법 온라인 수업에서 ARCS 동기 활동을 수행한 대학생 310명을 대상으로 변인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학습자들은 한 학기 동안 줌을 통해 실시간 온라인 교양 수업을 수강하면서 디지털 학습 도구를 활용한 동기 활동을 수행하였고, 학기 말에 설문에 응답하였다. 측정된 변인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모형의 적합도를 평가한 후에 구조모형과 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수업만족에 대한 동기전략의 효과와 학습지속의도와 성취에 대한 수업만족의 간접효과를 발견하였다. 주의집중전략, 관련성전략, 만족감전략은 수업만족을 매개로 학습효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자신감전략은 유의미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기전략 중에서 주의집중전략이 가장 큰 영향력이 있었고, 만족감전략이 가장 약했다. 결론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ARCS 모델의 효과와 동기처리와 결과처리 간의 경로를 확인하였다. 논의를 통해 동기전략과 수업만족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긍정적인 학습효과를 증진하기 위한 교수 방안 모색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ARCS 동기유발 활동에서 디지털 학습 도구의 유용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course satisfaction between motivation strategies and learning effects by apply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s 310 undergraduates using digital learning tools in an online clas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hile the students attended a synchronous online class, they participated in motivational activities using digital learning tools throughout the semester and were asked to answer surveys in the last week of the semester. The suitability of the measurement model was evaluat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the measured variables, and the structural model and indirect effects were tested. Results The analyses revealed the effectiveness of motivation strategies on course satisfaction and the indirect effects of motivation strategies on learning continuation intention and achievement. The Attention, Relevance, and Satisfaction strategies positively influenced learning effects, mediated by course satisfaction, but the Confidence strategy had no significant impact. The Attention strategy showed the strongest indirect effect on learning effects, while the Satisfaction strategy showed the weakest effect. Conclusions The results supported the ARCS model's impact and confirmed the paths between motivational processing and outcome processing. The importance of motivational strategies and course satisfaction was highlighted to promote learning effects, suggesting the need for instructional methods to enhance positive learning outcomes. In addition, the usefulness of digital learning tools in ARCS motivational activities was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교육방법연구
  • (사)디지털산업정보학회 논문지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 교육평가연구
  • 한국외식산업학회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교양교육연구
  • 지식경영연구
  • 교육정보미디어연구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 서울: 교육과학사
  • Psychological Bulletin
  • Psychological Bulletin
  • Electronics
  • Journal of Online Learning and Teaching
  • Computers & Education
  •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Systems
  •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s
  • Nurse Education in Practice
  •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 Computers & Education
  • European Journal of Contemporary Education
  • Technology, Instruction, Cognition, and Learning
  • New York: Springer
  • In N. M. Seel (Ed.). Encyclopedia of the sciences of learning
  • Sustainability
  • NY: Guilford publications
  • Computers & Education
  • Innovation in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 Turkish Online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 The e-Learning Developers Journal
  •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Education
  • Computer Assisted Language Learning
  •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Science Education
  • Digital Learning
  •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Systems
  •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 Multimedia Tools and Applications
  • Computers & Education
  • Computers & Education
  •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 Frontiers in Psycholog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혜원(Hyewon Cho). (2024).디지털 학습 도구를 이용한 ARCS 동기 활동이 온라인학습 지속의도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수업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3), 624-636

MLA

조혜원(Hyewon Cho). "디지털 학습 도구를 이용한 ARCS 동기 활동이 온라인학습 지속의도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수업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3(2024): 624-636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