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Happines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소영(So Young Lee) 구광현(Kwang Hyun Ko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3호, 536~549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감정노동과 행복감, 그리고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방법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702명이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부트스트랩 방법을 활용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보육교사의 감정노동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행복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에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감정노동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및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감 역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행복감이 교사의 감정노동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를 긍정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가 인식한 감정노동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구조적 관계와 매개효과를 실증하는 것으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향상을 위한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예방 및 조절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보육교사의 행복감 향상, 교사-영유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 증진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happines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happiness.
Method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702 teachers working at child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using the bootstrap method.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ers’ emotional labor, the feeling of happiness, and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hat the teachers’ emotional labor affects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he sense of happiness. Happiness was also shown to influence teacher-child interac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happiness positively mediates the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Conclusion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nd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provide basic data for the preparation of measures to prevent and control the teachers’ emotional labor in order to enhance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suggest the need to improve their happiness and promote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평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서울: 배영사
- 한국영유아보육학
-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래유아교육학회지
-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지방정부연구
-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육아지원연구
- 서울: 청람
-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 서울한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유아교육연구
-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서울: 한나래 아카데미
-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국영유아보육학
-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칼빈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한국생활과학지
- 한국영유아교육⋅보육연구
-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열린유아교육연구
-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국영유아보육학
- 사회복지경영연구
- 협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한 국가족복지학
-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대구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국영유아보육학
-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유아교육연구
- 인문사회21
-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파주: 양서원
-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olorado State University, Colorado Spring, Co.
-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 오혜경 역 (2008). 행복도 연습이 필요하다. 서울: 지식노마드
- 이지헌, 김선, 김희봉, 장정훈 역 (2008). 행복과 교육. 서울: 학이당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