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etaphors on Play and Child-Centered Approach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서연(Seoyeon Park) 이숙희(Sukhee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3호, 522~535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메타포의 특징을 활용하여 유아교사가 가진 놀이와 유아중심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방법 이를 위하여 P시 소재 유아교사 170명을 대상으로 메타포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최종 163부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회수된 놀이와 유아중심의 메타포는 Moser의 내용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유아교사의 놀이 메타포는 즐거운 감정(즐거움, 재미 등)이 47건(28.8%), 배움(배움, 교육, 성장 등)이 45건(27.6%), 삶(생활, 일상 등)이 44건(27.0%), 자유(자유, 창의력 등)가 27건(16.6%)으로 범주화되었고, 유아중심 메타포는 주도성(유아주도, 놀이 등)이 49건(30.0%), 권리(존중, 유아 입장 등)가 48건(29.5%), 다양성(놀이, 자유 등)이 39건(23.9%), 관계의 기초(놀이활동, 사랑 등)가 27건(16.6%)으로 범주화되었다.
결론 놀이와 유아중심에 관한 메타포를 살펴보면 교사들은 놀이를 긍정적이면서 유아의 삶과 배움에 필수적인 요소로 인식하였다. 그리고 유아중심은 관계적인 측면에서 교사가 유아와 맺는 관계 형성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있었다. 유아교사들의 메타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이 추구하는 기본 방향과 맥을 같이하여 교사들은 교육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기초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play and child-centered education b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metaphors.
Methods To this end, a metaphor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70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ity P, and a total of 163 responses were used as research data. The collected metaphors related to play and child-centered education were analyzed using Moser's content analysis method.
Results The play metapho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categorized into life, joyful emotions, learning, and freedom. The child-centered metaphors were categorized into autonomy, rights, diversity, and the foundation of relationships.
Conclusions The examination of metaphors related to play and child-centered education reveals that teachers perceive play as a positive and essential element in a child’s life and learning. Additionally, teache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forming relationships with children from a relational perspective in child-centered education. The metaphors us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lign with the fundamental direction pursued by the 2019 revised National Nuri Curriculum, confirming that teachers possess a foundation for maintaining consistency in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열린유아교육연구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Culture Technology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유아교육연구
- 아동교육
- 유아교육연구
- 인문학논총
- 유아교육학논집
- 아동과 권리
- 유아교육연구
- 유아교육연구
- 복지상담교육 연구
- 한국교육
- 생태유아교육연구
- 생태유아교육연구
- 유아교육학논집
- 열린유아교육연구
-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 학술대회 논문집
- 한국영유아보육학
- 유아교육연구
- 유아교육연구
- Educational Reseaarch
- Forum: Qualitative Social Research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