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On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rom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learning engagement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려(Li Zheng) 전춘련(Chunlian Qua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3호, 512~521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셀프리더십이 학습몰입에 영향을 줄 때 긍정심리자본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확인하는 데에 있었다.
방법 본 연구 대상은 중국 4년제 남녀 대학생이며 중국 동북지역의 연변대학교, 화북지역의 산동대학교, 서남지역의 사천대학교 학생 382명을 분석하였다. 휴대폰 설문 얩을 사용하여 모바일 조사를 하였으며 조사 기간은 2022년 8월26일부터 11월15일까지였다.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하였으며 bootstrap 방법을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셀프리더십은 긍정심리자본에 직접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긍정심리자본은 학습몰입에 직접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셋째, 셀프리더십과 학습몰입 간에 긍정심리자본이 완전 매개를 하였다.
결론 셀프리더십, 긍정심리자본,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은 셀프리더십과 학습몰입 간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를 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lays a mediating role when self-leadership perceived by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nfluences learning engagement.
Methods The research object is four-year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China, and 382 students from Yanbian University in northeast China, Shandong University in north China and Sichuan University in southwest China are analyzed. The survey was conducted by using the mobile phone questionnaire survey App, and the survey time was from August 26 to November 15, 2022.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s analyzed and the media effect is verified by bootstrap method.
Results First, self-leadership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co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learning engagement. Third, between selfleadership and learning engagemen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lays a complete media effect.
Conclus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learning engagemen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lays a complete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learning engage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국산학기술학회지
-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 상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청소년상담연구
- 학습자중심교과 교육연구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 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평생학습사회
-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세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상업교육연구
- 现代职业教育
- 卫生职业教育
- 中国健康心理学杂志
- 护理学报
- 博士学位论文, 华中师范大学
- 硕士学位论文, 南昌大学
- 硕士学位论文, 兰州大学
- 华东经济管理
- 硕士学位论文, 北京理工大学
-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 International Journal of Leadership Studies
-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 Organizational Dynamic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