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fluences of Career Self-Directedness on Depression and Anxiety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 저자명
- 조용선(Yongsun Cho)
- 간행물 정보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제8권 제6호, 189~20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여대생의 진로자기주도성이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여대생 310명을 대상으로 2024년 5월 13일부터 6월 14일까지 진로자기주도성, 우울, 불안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분석으로, 기술통계와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들 간의 관련성과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진로자기주도성과 우울, 불안 간에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자기주도성이 우울과 불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진로자기주도성의 하위요인인 진로확신성은 우울에, 진로자기주도성의 하위요인인 진로탐색의 지속성은 불안에 가장 큰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에서는 여대생의 진로자기주도성이 이들의 우울과 불안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입증함으로써, 취업스트레스에 노출된 여대생이 심리적 어려움 특히, 우울과 불안을 극복하고 자신의 진로방향을 확고히 하여 꾸준히 진로준비를 해 나아가는데 있어, 무엇보다도 진로자기주도성의 함양한 중요한 변인이라는 점을 검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career self-directedness on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To achieve this, a study was conducted on 310 female students enrolled in universiti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from May 13 to June 14, 2024. The participants were assessed on career self-directedness, depression, and anxie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liability analysis. Additionall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nd effects among the variables. The analysis revealed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career self-directedness and both depression and anxiety. Furthermore, career self-directednes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and anxiety. Specifically, the sub-factor of career self-directedness, career certainty, had the greatest impact on depression, while the persistence of career exploration ha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anxiety.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career self-directedness significantly influences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It highlights that career self-directedness is a crucial variable in helping female students cope with psychological challenges, particularly depression and anxiety, amid the stress of job-seeking. Moreover, fostering career self-directedness can play a pivotal role in helping students solidify their career paths and persistently prepare for their futur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한국심리학회 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울: 중앙적성출판사⋅중앙적성 연구소
- 한국아동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진로교육연구
- 한국명상학회지
- 디지털융복합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문화와 융합
- 총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아시아 여성연구
-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디지털융복합연구
- 우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진로교육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대한보건협회 보건종합학술대회 2011
-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 한국 콘텐츠학회논문지
- 한국 콘텐츠학회논문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 Social Problems
- Social Problems
-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 Baltimore, MD: Clinical Psychometric Research
- Harvard Business Review Press
-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 Doctoral dissertation, Athens, Georgia: University of Georgia
-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ian Psychology
- The Counseling Psychologist
-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 PLOS ONE
- Annual Review of Organizational Psychology and Organizational Behavior
-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 4th. Ed. (이재창, 조봉환, 안희정, 황미구, 임경희, 박미진, 김진희, 최정인, 김수리 역). 서울: 아카데미프레스(원전은 2006 년 출판)
-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 In H. B. Long & associates (Eds.). Advances in research and practice in self-directed learning (pp. 157-180). Norman, OK: Oklahoma Research Center for Continuing and Higher Education of the University of Oklahoma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