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Meaning of Multicultural Awareness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the Creation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 발행기관
- 한국국회학회
- 저자명
- 박부숙(Boo-Sook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세계』제6권 6호, 163~19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다문화 인식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영유아를 위한 다문화그림책을 제작하고 예비유아교사들의 다문화 인식변화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G시 S대학교 예비유아교사 11명으로 그림책 제작 과정에서 수집된 자료는 스트라우스와 코빈(Strauss & Corbin)이 제시한 개방 코딩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다양한 디지털 기술 활용, 팀별 상이한 팀워크 발휘를 통한 다양성 경험, 작가의 세계 등 새로운 경험이었고, 다문화그림책과 연계활동을 구상하고 문학적 접근법을 제시함으로써 다문화교육 실천에 대한 자신감을 가졌다. 또한 학생들은 일반 그림책에서 다문화 요소 발견하고, 다문화교육은 모두를 위한 교육이며 비판적 사고를 통하여 다문화에 대한 인식을 재구성하였다. 학생들의 다문화그림책을 유아교육기관에서 적용하여 볼 것을 제안하며, 나아가 다문화 요소가 골고루 포함된 그림책이 지속해서 창작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experiences of 11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at S University in G City who created multicultural picture books for infants and toddlers to enhance multicultural awareness.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open coding method proposed by Strauss and Corbin.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gained new experiences, such as using various digital technologies, gaining insights into diversity through teamwork with varied team dynamics, and exploring the world of authorship. Through the process, they proposed multicultural picture books and related activities as a literary approach, which enhanced their confidence in implementing multicultural education. Additionally, students identified multicultural elements in general picture books and reshaped their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ism, embracing the idea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is for everyone. It is recommended that these multicultural picture books be us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with the expectation that picture books with balanced multicultural elements will continue to be develop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어린이문학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육아지원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양서원
- 한국교원교육연구
- 육아정책연구소
- 인하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인문사회21
- 유아교육학논집
- 사회과학리뷰
- 교육행정학연구
- 이화 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춘계 학술대회 논문집
-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유아교육연구
- 학연사
- 인문사회21
- 동화와 번역
- 열린유아교육연구
- 교문사
- 정민사
- 정서·행동장애 연구
- 유아교육연구
-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열린유아교육연구
-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교과교육학연구
- 미래유아교육학회지
-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유아교육연구
-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어린이문학교육연구
-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 교육문화연구
- 어린이문학교육연구
- Routeldge
- Language Arts
- Innovations in Education and Teaching International
- Boston
- Sage Publications
- Harper Collins College Pub
- White paper prepared for Cable in the Classroom
- Allyn and Bacon, Inc.
- The Kent State University
- Micnik Pubns.
- Child Development
- Merrill Prentice Hall
- Primary teachers
- Sage Publications
- The Journal Multiculturalism in Education
- Redleaf Pres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