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유아교육기관에서 부르는 노랫말에 담긴 공동체성 탐색

이용수 56

영문명
A search for communality in the lyrics of an infant education institution
발행기관
한국국회학회
저자명
하연희(Yeon-Hee Ha) 석선화(Sun-Hwa Suk)
간행물 정보
『한국과 세계』제6권 6호, 133~16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유아교육기관에서 부르는 노랫말에 담긴 공동체성을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육을 통한 공동체성 회복과 확장의 가능성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료 제공 협조가 가능한 P시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10개 기관에서 2020~2023학년도에 불렀던 457개 노래를 수집하였다. 연구자 2인과 유아교육전문가 1인이 수집한 곡 중 최종 297곡을 선정하였고, 워드클라우드 분석과 전문가포커스면담을 통해 노랫말에 담긴 공동체성을 범주화하였다. 그 결과 노랫말에 담긴 공동체성은 첫째, ‘일상생활 속에서 함께 하는 나’, ‘함께 자라나는 나’의 상위범주를 통해 ‘공동체망 속에 아이가 존재하다’였다. 둘째, ‘따뜻한 관계망 만들기’, ‘모든 생명 존중하기’의 상위범주를 통해 ‘생명의 관계성을 만들어 가다’였으며, 셋째, ‘사랑과 평화의 세상 만들기’의 상위범주를 통해 ‘사랑과 평화의 공동체를 꿈꾸다’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영유아의 공동체성 함양과 회복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영유아교육기관은 공동체성 함양을 위한 최초의 역할과 책무성을 가지고 공동체성을 내포하는 노랫말을 담은 노래 지도를 통해 미래 사회를 살아갈 영유아들의 공동체성 회복을 도모해야 함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the possibility of restoring and expanding community through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examining the community in the lyrics sung by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o this end, 457 songs sung from 2020 to 2023 were collected from 10 institutions of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P city that can cooperate in providing data. The final 297 songs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songs collected by two researchers and one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 and the community contained in the song was categorized through word cloud analysis and expert focus interviews. As a result, the community characteristics contained in the lyrics were first analyzed as 'a child exists in a community network', second as 'build a relationship of life', and third as 'dreaming of a community of love and peace'. Through this study, w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ultivating and recovering the community of infants and toddlers, and discussed that infant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play the first role and accountability for cultivating community and promote the restoration of community of infants and toddlers who will live in the future society through song guidance with lyrics that contain communi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한국수학교육학회지
  • 문화예술교육연구
  • 육아지원연구
  • 한국초등교육
  • 인문사회21
  • 교과교육학연구
  •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 어린이교육 비평
  • 어린이문학 교육연구
  • 한국영유아보육학
  • 미래유아교육학회지
  • 생태유아교육연구
  • 유아교육 학론집
  • 유아교육학논집
  • 생태유아교육연구
  • 유아교육연구
  • 교사교육연구
  • 생태유아교육연구
  • 한국영유아보육학
  • 인문사회21
  • 한국교육문제연구
  •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 Contemporary Educ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연희(Yeon-Hee Ha),석선화(Sun-Hwa Suk). (2024).영유아교육기관에서 부르는 노랫말에 담긴 공동체성 탐색. 한국과 세계, 6 (6), 133-162

MLA

하연희(Yeon-Hee Ha),석선화(Sun-Hwa Suk). "영유아교육기관에서 부르는 노랫말에 담긴 공동체성 탐색." 한국과 세계, 6.6(2024): 133-162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