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학습 유형 : 잠재집단 분류 및 영향요인

이용수 72

영문명
Types of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Using Digital Devices:Identifying Latent Classes and Influential Factors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조성범(Sungbum Cho)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제32권 제6호, 215~24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디지털 기기 활용에 따른 학습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별 예측요인 탐색과 성과변인 간 차이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23 학부교육 실태조사(K-NSSE)’에 참여한 S 대학 재학생 489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잠재계층분석(LCA)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디지털 기기 학습 유형은 (1) 디지털 소외 집단, (2) 소통 중심 집단, (3) 데이터 활용 경험 집단, (4) 디지털 기기 적극 활용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성별, 반성적 학습, 협력 학습, 교수 역량이 대학생의 디지털 기기 활용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기기 적극 활용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디지털 역량과 학습 성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대학생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전략 수립에 있어 학문적 및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of learning based on university students' use of digital device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predictive factors and performance variables across these types. For this, Latent Class Analysis (LCA)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489 students at S University who participated in the ‘2023 K-NSS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learning based on university students' use of digital devices were classified into (1) the digitally marginalized, (2) the communication-oriented, (3) data utilization, and (4) active digital device usage. Second, gender, reflective learning, collaborative learning, and effective class were found to be key predictors for students' digital device usage types. Lastly, the 'active digital device usage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esults in both digital competence and student outcomes compared to other groups. Based on these finding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for developing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o enhance university students' digital competence.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 검토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시사점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교육정보미디어연구
  • 평생교육학연구
  • 인문사회 21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리터러시 연구
  • 교양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 연구
  • 한국청소년연구
  • 교육방법연구
  • 교육평가연구
  • 아시아교육연구
  • 교육학연구
  • 서울: 교육과미래연구소
  • 교육정보미디어연구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교육평가연구
  • 한국언론학보
  • 한국소통학보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이화의료학회지
  • 열린교육연구
  • 교육문화연구
  • 한국교육공학회지
  • 교육종합연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 한국언론학보
  • 교양교육연구
  • 한국HCI학회지
  • 교육종합연구
  • 교양교육연구
  • 인지과학
  • 열린교육연구
  •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성범(Sungbum Cho). (2024).대학생의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학습 유형 : 잠재집단 분류 및 영향요인. 열린교육연구, 32 (6), 215-244

MLA

조성범(Sungbum Cho). "대학생의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학습 유형 : 잠재집단 분류 및 영향요인." 열린교육연구, 32.6(2024): 215-244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