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the Self-Reporting of Generation Z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황성원(Sungwon Hwang) 이현주(Hyunjoo Lee)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2권 제6호, 123~14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유보통합 정책의 구체적인 시행을 앞두고 4년제 대학교에 재학하는 22명의 Z세대 예비 영유아교사가 작성한 자기보고형 글모음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영유아교사가 되고자 한 이유, 가정환경의 배경, 타고난 성향, 진로 관련한 개인 경험은 무엇이며 자신이 영유아교사로서 자질과 역량을 갖추었는지, 어떤 점에서 자신이 영유아교사로서 적합하고 어떤 점이 부족한지 등 자신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등에 대하여 자유롭게 서술하였다. 총 48쪽 분량이며 코딩작업을 통해 지속적 비교 분석방법을 실시하였다. 질적 분석 결과 환경적 특성, 개인적 특성, 관계적 특성으로 3가지 개념으로 범주화하여 총 7가지 주제어를 도출하였다. 환경적 특성에는 영유아교사직 선택 동기, 개인적 특성에는 자기 관리, 영유아교사의 사고와 태도, 영유아교사가 되기 위한 자기 보완 노력으로, 관계적 특성에는 영유아교사의 공감과 배려, 영유아교사의 협력과 지원, 영유아교사의 전문성 요구로 정리하였다. Z세대 영유아교사에 대한 심층적 이해는 향후 유보통합 후 운영할 영유아교원 양성 학과에서 교사론 또는 교사 인성 교과목을 새롭게 구성할 때, 교과목 내용 선정에 반영할 수 있는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qualitatively analyzes the self-report of 22 Generation Z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tending a four-year university, in anticipation of the imminent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integrating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systems. The self-reports consist of freely written reflections on various topics, including the reasons for aspiring to become an early childhood teacher, the background of their family environment, their innate dispositions, personal experiences related to their career path, their self-assessment of whether they possess the qualities and competencies required as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in what aspects they see themselves as suitable or lacking for the role.The total text amounted to 48 pages, and a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method was applied through the coding process.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ed in the identification of three key concepts: development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relational characteristics, which were further categorized into seven main themes. The development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cluded motivations for choosing a caree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encompassed self-management, the thoughts and attitud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fforts to improve oneself in preparation for the role. The relational characteristics were categorized as empathy and consideration, cooperation and support, and the demand for professionalism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An understanding and analysis of Generation Z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an provide valuable reference material when restructuring teacher education or teacher personality development cours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s, particularly after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systems.
목차
Ⅰ. 서론 : 연구 목적과 필요성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한국초등체육학회지
- 경기도교육연구원현안보고
- 석사학위논문
-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 한국 보육지원학회지
- 아동교육
- 인문사회21
- 열린유아교육연구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 교원교육연구
- 석사학위논문
-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 석사학위논문
- 석사학위논문
- 윤리연구
- 열린교육연구
- 한국영 유아보육학
- Allyn & Bacon
- Havard Educational Review
- Professional Educator Publications
- Armand coli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